국내 가임기여성 체내 중금속 美기준 크게 밑돌아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6-15 12:00:13
  • -
  • +
  • 인쇄
환경부 조사…중금속 농도 높으면 자궁질환 등 유병률 높아

국내 가임기여성 체내 중금속 美기준 크게 밑돌아

환경부 조사…중금속 농도 높으면 자궁질환 등 유병률 높아



(세종=연합뉴스) 이상헌 기자 = 우리나라 가임기 여성의 혈중 중금속 농도 수치가 미국 등 선진국의 기준치를 크게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작년 5월부터 올해 3월까지 서울에 거주하는 가임기 여성(30∼49세) 307명을 대상으로 중금속과 내분비계 교란물질 농도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조사는 혈액과 소변 임상검사, 설문조사 등으로 이뤄졌다.

조사는 환경유해인자 노출과 여성 질환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됐다.

조사 결과 이들의 혈중 중금속 평균 농도는 납 1.4㎍/L, 카드뮴 1.0㎍/L, 수은 1.9㎍/L 등으로 나타났다. 미국 기준은 납 10㎍, 카드뮴 5㎍, 수은 5.8㎍이다.

소변 중 내분비계 교란물질인 비스페놀A(BPA)의 평균농도는 1.67㎍/L으로, 독일과 미국 등 해외 유사 연구사례보다 기준치의 절반 이하로 조사됐다.

프탈레이트 대사체 중 모노 2-에틸-5-하이드록시헥실프탈레이트와 모노 2-에틸-5-옥소헥실프탈레이트의 합의 평균농도는 23.64㎍/g, 모노부틸 프탈레이트의 평균농도가 40.92㎍/g으로 각각 나타나 기존에 연구된 산모·영유아 환경노출에 따른 건강영향 조사 결과보다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주요 유해환경인자와 건강영향 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혈중 카드뮴 농도가 높은 군(상위 10%)이 낮은 군에 비해 자궁근종, 자궁내막 용종 등의 유병률이 2.53∼4.0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카드뮴이 체내에서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비슷한 작용을 한다는 기존 연구 결과와도 같다. 에스트로겐은 여성의 2차 성징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과다 시 자궁근종과 유방암, 우울증 등 부작용을 일으킨다.

납의 고노출군은 자궁내막 용종 진단율이 4.46배, 수은 고노출군은 비만 진단율이 2.3배 각각 높게 나왔다.

환경부는 이번 조사가 소규모 연구로 환경노출과 여성질환 간의 상관성 규명에 한계가 있다며, 올 하반기 500여명을 추가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