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뺑소니범 꼭 잡는다'…경찰 '뺑소니 광역수사대' 도입
지방청별 인원 편성해 '경찰서 한곳서 해결 불가' 판단되면 가동
(서울=연합뉴스) 구정모 기자 = 사고 현장에 증거물이 없는 등 경찰서 한 곳만으로 수사가 벅찬 뺑소니 사고를 해결하기 위해 '뺑소니 광역수사대'가 운영된다.
이른바 '크림빵 뺑소니'처럼 뺑소니 사고가 장기화하는 것을 막으려는 조치다.
경찰청은 14일 뺑소니 사고 중에서 수사 범위가 넓고 많은 인력이 필요한 사건에 대해 일시적으로 광역수사대를 구성해 뺑소니범을 조기에 검거하겠다고 밝혔다.
경찰청 관계자는 "수사가 어려운 뺑소니 사건 발생 시 인접 경찰서끼리 협조해 조기에 뺑소니범을 검거하기 위해 광역수사대를 운영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지방경찰청별로 2∼5개 권역으로 나눠 권역별로 수사대 인원을 짠다. 대전·광주·울산·제주청 등 관할이 넓지 않은 지방청은 권역을 나누지 않을 수도 있다.
광역수사대는 분석·지원팀, 추적수사팀, 탐문수사팀, 홍보팀, 피해자보호팀 등 5개팀 10여명으로 구성된다.
평상시에는 편제만 짜 두고 관련 사고가 발생하면 가동한다.
예컨대 사건 현장에서 증거물이 없어 관할 경찰서가 독자적으로 수사하기 어려우면 해당 경찰서는 이를 상급기관인 지방청에 보고한다.
지방청은 즉시 미리 편성된 광역수사대를 소집해 수사에 들어간다. 이때 수사대장은 사건이 발생한 지역의 경찰서 교통과장이 맡는다.
뺑소니 광역수사대 도입은 단일 경찰서에서 처리하기 어려운 뺑소니 사고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올해 1월 충북 청주에서 발생한 '크림빵 뺑소니'다. 화물차 기사가 임신한 아내에게 줄 크림빵을 사들고 귀가하다 뺑소니 차량에 희생된 사고다.
사고 직후 관할인 흥덕경찰서 경찰관 4명으로 전담반이 꾸려졌지만 인력 부족으로 사실상 한 명이 수사를 도맡다시피 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 탓에 용의차량조차 제대로 특정하지 못했다. 경찰은 여론의 뭇매를 맞고서야 뒤늦게 강력계 형사들까지 동원한 대대적인 수사본부를 차려 결국 사건을 해결했다.
경찰청은 우선 뺑소니 광역수사대를 대전경찰청에서 시범 운영한 뒤 성과를 평가해 전국적으로 도입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