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청주=연합뉴스) 김형우 기자 = 청주대 정상화를 위한 범비상대책위원회가 지난해 12월 학교 정상화 등을 요구하며 본관을 봉쇄한 모습. <<연합뉴스 DB>> |
구조개혁 대상 오른 청주대 구성원끼리 '네탓' 공방
학교측 "학내 분규 때문" 범비대위 "적립금 쌓아두고 투자 게을리한 탓"
(청주=연합뉴스) 전창해 기자 = 대학구조개혁 2단계 평가 대상에 포함된 것과 관련 청주대학 구성원들끼리 9일 책임 공방을 벌였다.
이 대학 교무위원 일동은 9일 성명을 내 "청주대가 이번 평가에서 하위그룹에 속한 이유는 양호한 정량평가와 달리 정성평가에서 최하위권 점수를 받았기 때문"이라며 "이는 학내분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만약 2단계 평가에서도 D등급 이하 판정을 받으면 지난해 정부 재정지원 제한대학 지정에 이어 대폭적인 정원 감축과 국가장학금 지원 중단이 불가피하다"고 우려했다.
이들은 "이런 절체절명의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구성원 모두가 단합된 노력이 필요하다"며 "전 구성원이 대책 마련을 위한 가칭 '청주대 혁신발전협의회' 구성에 참여해 달라"고 요구했다.
황신모 청주대 총장도 하루 전인 지난 8일 담화문을 내 하위그룹에 속한 이유를 학내 분규로 규정하고 '학교 정상화를 위한 범비상대책위원회'(이하 범비대위)에 "혁신발전협의회를 구성, 대학이 당면한 현안 해결에 힘을 모으자"고 제안했다.
이 대학 교수회는 즉각 반박자료를 내고 "황 총장 등이 주장하는 것처럼 학내 분규가 감점 요인이 됐다는 내용은 어디에도 없는데 책임을 범비대위에 전가하려 하고 있다"고 반발했다.
이어 "이번 평가 결과를 자체 분석해보니 대학 측이 2014학년도에도 적립금을 쌓아 놓는 구태를 답습하고, 정성평가 항목에 대한 예산투자를 게을리한 것이 감점 요인으로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교수회는 "황 총장과 보직자들은 이번 평가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한 것에 대해 스스로 반성하고, 학교 구성원과 지역사회에 사죄한 뒤 물러나라"고 덧붙였다.
지난 5일 교육부로부터 대학구조개혁 2단계 평가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통보받은 청주대는 최종 평가에서도 하위등급인 D, E등급으로 남으면 재정지원 참여를 제한받게 된다.
청주대는 지난해에도 정부의 재정지원 제한대학 대상에 포함돼 국가장학금 지원과 학자금 대출 등에 제한을 받았다.
이와 관련 이 대학 총학생회, 총동문회, 교수회, 노동조합으로 결성된 범비대위는 학교 본부 등 일부 건물을 점거하고 정상화를 요구하는 농성을 이어오고 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