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지난 1일 오후 서울 용산구 소월로 그랜드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서명식'에서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오른쪽)과 가오후청 중국 상무부장이 서명을 한 뒤 악수하고 있다. |
"한중FTA 효과 담보하려면 中강제인증 장벽 해소돼야"
산업부·무협 '통상산업포럼 전자전기·전자부품 분과회의'
(서울=연합뉴스) 이봉준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무역협회는 9일 서울 삼성동 무역협회 3층 회의실에서 '통상산업포럼 전자전기·전자부품 분과회의'를 열어 중국의 무역기술장벽(TBT) 등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중국의 TBT 현황과 대응방안·세계무역기구(WTO) 복수국 간 협정 협상 동향과 협상전략'을 주제로 열린 이날 회의는 중국 TBT에 따른 애로 해소를 통해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효과를 극대화하고 WTO 다자간 협상 등 통상정책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업계는 지난 1일 정식 서명된 한-중 FTA 효과를 담보하려면 강제인증(CCC : China Compulsory Certification)과 같은 중국의 TBT가 해소돼야 한다는 의견을 개진했다.
중국의 CCC는 전기용품과 자동차 부품, 장난감 등에 적용되는 포괄적 강제인증 제도로 우리나라의 국가통합인증마크(KC) 인증에 비해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2배 이상이고 컨설팅 비용까지 부담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참석자들은 또 WTO 복수국 간 협정인 정보기술협정(ITA)과 환경상품협정(EGA)과 관련한 협상 대응 방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
이날 회의에는 산업부와 무역협회 외에 산업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삼성전자[005930], SK하이닉스[000660]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통상산업포럼 분과회의는 산업-통상 연계 강화를 위해 2013년 신설돼 주요 업종별 FTA 협상 전략 수립과 보완 대책 마련을 위한 지원 기능을 수행해 왔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