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의 역사인식 확장하면 한일 관계 위기극복 가능"…한일 공동성명도 추진
![]() |
△ 성명서 발표 기자회견 장면 |
일본 지식인 281명 "아베담화에 사죄·반성 다시 표명해야"(종합2보)
"軍위안부 문제 해결 시급…위안소 운영, 일본군이 주체인 것 명백"
"공통의 역사인식 확장하면 한일 관계 위기극복 가능"…한일 공동성명도 추진
(도쿄=연합뉴스) 이세원 특파원 = 300명 가까운 일본 지식인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전후 70년 담화에 사죄와 반성을 명확히 표명하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와다 하루키(和田春樹) 도쿄대 명예교수 등 일본 지식인 281명은 '2015년 일한 역사문제에 관해 일본의 지식인은 성명한다'는 제목으로 역사 문제를 두고 악화한 한일 관계에 관한 견해를 8일 발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아베 총리가 한일 수교 50주년인 올해 발표할 전후 70년 담화가 "고노(河野)담화, 무라야마(村山)담화, 간 나오토(菅直人)담화와 같은 지금까지 일본 정부의 역사문제 담화를 계승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침략과 식민지배가 중국, 한국 등 아시아 이웃 여러 나라 사람들에게 손해와 고통을 초래했다는 것을 재확인하고 반성과 사죄의 마음을 다시 표명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제언했다.
성명서는 한국과 일본 사이에 존재하는 여러 역사 문제 중 가장 해결이 시급한 것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꼽았다.
또 "고노담화 이후 일본 정부에 의해서도, 한국과 일본의 연구자·시민에 의해서도 위안부 제도에 관한 새로운 자료가 발굴·공개됐다. 이에 따르면 위안소의 설치·운영은 민간업자가 아니라 바로 일본군이 주체가 돼 이뤄졌다는 것이 명확해졌다"며 일본이 국가 책임을 인정할 것을 촉구했다.
성명서는 고노 담화에 근거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게 사죄하고 속죄한다는 뜻을 담아 1995년 시작된 아시아여성기금 사업에 관해서는 한국 정부가 인정한 피해자의 3분의 2 이상이 기금이 지급하는 돈을 거부했으며 이런 점 등을 고려할 때 일본 정부의 사죄 사업이 한국에서는 미완이라고 평가했다.
또 작년 6월 일본군 위안부 문제 아시아연대회의가 사실 인정에 기반을 둔 사죄와 사죄 표시로서의 배상 등을 중심으로 피해자가 수용할 수 있고 일본 정부도 실행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안했다며 일본 정부가 위안부 문제 해결에 하루빨리 나설 것을 촉구했다.
지식인들은 현재의 한일 관계가 '헤이트 스피치'(hate speech, 특정 집단에 대한 공개적 혐오 발언·시위)와 같은 병리 현상 등 역류에 직면해 있다고 진단했다.
이들은 "우리에게는 동요도 후퇴도 없다. 만들어 낸 공통의 역사 인식을 확장해 가면 일시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 새로운, 인간적인 일한 협력의 100년을 연다는 결의를 지금 다시 확인하고 우리는 일한 양국 국민과 함께 전진할 따름"이라고 밝혔다.
8일 일본 참의원 회관에서 열린 성명 발표 기자회견에서 야노 히데키(矢野秀喜) 강제연행·기업 책임추궁 재판 전국 네트워크 사무국장은 이번 성명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초점을 맞췄다고 평가했다.
그는 "국교 정상화 50주년을 맞았지만, 식민지주의의 청산은 완료되지 않았다. 외교상 최대 문제라고도 하는 위안부 문제는 식민지주의에 기인한 문제이며 식민지주의를 청산하기 위해서도 긴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아베 총리의 측근으로 전후 70년 담화 관련 전문가 회의에 참여하는 기타오카 신이치(北岡伸一) 국제대학 학장이 '전쟁을 일으킨 당사자, 상황을 파악할 수 없었던 일반 국민, 어린이였던 사람, 그 뒤에 태어난 사람이 져야 할 책임이 각기 다른 것은 당연하다'며 전후 70년 담화에 사죄 표현을 넣지 않아도 된다고 시사한 것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의견이 제시됐다.
가스야 겐이치(糟谷憲一) 히토쓰바시(一橋)대 명예교수는 책임을 지게 하는 것을 모호하게 한 상태로 현재까지 왔으므로 일단 나중에 태어난 세대에게 책임을 지게 할 밖에 없다고 지적했고 와다 명예교수는 "사죄와 반성을 나누는 것은 이상하다. (중략) 말장난이라고 생각한다"고 꼬집었다.
이번 성명에는 와다 명예교수, 미즈노 나오키(水野直樹) 교토(京都)대 교수, 하야시 히로후미(林博史) 간토가쿠인(關東學院)대 교수, 이시자카 고이치(石坂浩一) 릿교(立敎)대 준교수, 우에노 지즈코(上野千鶴子) 도쿄대 명예교수, 우쓰미 아이코(內海愛子) 오사카 게이호(經法)대 아시아태평양연구센터 특임교수, 오타 오사무(太田修) 일본 도시샤(同志社)대 교수 등 17명이 발기인으로 나섰고 한반도 전문가를 중심으로 8일까지 281명이 찬성했다.
이번 성명서는 영어와 한국어로도 발표될 예정이다.
성명에 참가한 일부 지식인은 12일 서울에서 한일 양국 학자 등이 참가하는 공동 심포지엄을 열 예정이며 이르면 다음 달 공동성명 발표를 추진한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