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보건당국 '메르스 불통'…확진 학생 정보공유 안돼(종합)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6-08 19:02:19
  • -
  • +
  • 인쇄
격리학생 통계도 내놓지 못해…교육부-교육청도 학교명 공개 등에 '이견'
△ 정부세종청사 교육부에 마련된 학생 감염병 대책반 (연합뉴스 자료사진)

교육-보건당국 '메르스 불통'…확진 학생 정보공유 안돼(종합)

격리학생 통계도 내놓지 못해…교육부-교육청도 학교명 공개 등에 '이견'



(세종=연합뉴스) 노재현 기자 =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첫 10대 고교생이 나옴에 따라 8일 학생 감염에 대한 우려가 커졌지만 당국의 대응에는 손발이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우선 보건복지부, 교육부, 시·도교육청 간 상황 전파 및 정보 공유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고 우왕좌왕하는 모양새다.

16세인 이 학생은 경기도 남양주에 살고 있고 서울 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언론의 구체적인 정보 확인 요청에 교육부와 교육청은 학생에 대한 정보가 별로 없다며 보건복지부만 쳐다보고 있다.

이 학생은 삼성서울병원에 입원한 뒤 이달 1일부터 메르스 의심증상이 발생했지만 교육부는 그동안 관련 정보를 전혀 받지 못했다는 얘기다.

복지부가 학생의 신상정보를 밝히지 않은 것은 개인정보 보호 등의 원칙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장은 이날 보건복지부 브리핑에서 확진 학생의 주거지 등을 공개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개인정보 때문에 지역이나 기저질환은 알려드리기 어렵다"고 말했다.

복지부가 정보를 공유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교육당국이 이 학생의 학교 소재지 등의 기본 정보도 파악하지 못하는 것은 납득이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교육부는 이날 아침 보건복지부에 파견한 직원을 통해 이 학생의 나이와 질병 상태 등의 정보만 파악했다고 설명했다.

학생의 소속 학교 등을 모르기 때문에 교육 당국이 취할 수 있는 조치는 현재 없다는 것이 교육부의 입장이다.

서울시교육청도 보건당국과 교육부간 정보 공유 부재에 답답함을 토로했다.

서울교육청 관계자는 이날 "보건당국은 (메르스 확진 등의 상황에 대해) 연락을 주지 않는다"며 "교육부에도 해당 학생의 정보를 요청했으나 개인 신상이라 줄수 없고 알지 못한다는 답만 들었다"고 말했다.

서울교육청은 확진 학생이 서울 소재 학교에 다니는 것이 확인되면 휴업 등의 조치를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교육계 관계자는 "복지부, 교육부, 교육청이 정보를 공유하고 어느선까지 공개를 할 것인지에 대한 사전 조율을 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학생, 교직원의 격리자 통계에 관한 교육부와 보건복지부간 조율도 더디기만 하다.

교육부와 보건복지부는 이날 연령대별 격리자 통계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격리 학생의 숫자를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정부가 메르스 사태로 인한 휴업이 일주일째 이어지는 상황에서 기본적인 학생 통계조차 내놓지 못하는 것은 무책임하다는 비판이 크다.

지난 3일 보건복지부는 학생과 교사 격리자에 대해 "약 300명이 좀 안된다"고 밝혔지만 교육부는 국회에 32명이라고 보고해 혼선을 빚었다.

황우여 사회부총리가 수장을 맡고 있는 교육부가 메르스 사태 이후 교육분야 통계를 책임감 있게 제시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정보 공개에 관한 교육부와 시·도교육청 간 이견도 계속 드러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이날 시민도 거주지에서 어떤 학교가 휴업하는지 알 필요가 있다며 9일부터 휴업 학교를 인터넷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반면 교육부 관계자는 "학교명 공개는 어렵다고 본다"고 부정적인 뜻을 피력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