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5년 서울 가구 63%는 1·2인 초소형가구"
서울硏 인포그래픽스…초소형가구 중 노년층 비중 42.7%
(서울=연합뉴스) 이정현 기자 = 2035년에는 서울 3가구 중 2가구꼴로 1인이나 2인으로 구성된 초소형 가구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8일 서울연구원의 '서울의 초소형 가구, 얼마나 늘 것인가' 인포그래픽스에 따르면 서울의 초소형 가구 비중은 2000년 전체 가구 중 33.3%(104만 가구)에서 올해 현재 51.7%(188만 가구)로 늘어 전체 가구의 절반을 넘어섰다. 20년 뒤에는 63.2%(260만 가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초소형 가구의 연령대는 점점 고령화될 전망이다.
서울연구원은 저출산, 고령화의 영향으로 초소형가구 중 가구주 연령이 65세 이상인 노년층 가구 비중은 올해 23.9%에서 2035년 42.7%로 급증할 것으로 예측했다.
반면, 39세 이하 청년층 가구 비중은 올해 38.2%에서 2035년 22.6%로 감소할 것으로, 40∼64세 장년층 가구 비중 또한 올해 38%에서 2035년 34.7%로 줄 것으로 연구원은 예상했다.
한편, 지난해 주거실태조사 결과 서울 초소형 가구의 거주 주택 유형은 단독·다가구주택이 45.6%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아파트(30.1%), 연립·다세대주택(15.4%) 순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의 경우 오피스텔 거주 비율(8.1%)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