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조원가는 6%↑, 납품단가는 1%↓"…中企, 乙의 비애
중기중앙회 조사…10곳중 6곳 "대기업 납품단가 부적정"
(서울=연합뉴스) 고유선 기자 = 최근 2년간 중소 제조업체가 체감한 제조원가는 6% 이상 올랐음에도 납품단가는 오히려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가 8일 발표한 '중소 제조업 납품단가 반영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달 13∼22일 국내 중소 제조업체 300곳을 대상으로 조사했더니 2013년 제조원가를 100으로 봤을 때 올해 제조원가는 106.2로 6.2% 상승했다.
노무비(107.4)·경비(106.5)·재료비(103.6) 등이 전체적으로 올랐기 때문이다. 특히 제조원가 인상 요인으로는 '노무비 인상'을 꼽은 기업이 46.6%로 가장 많았다.
이에 비해 납품단가는 지난해 99.2, 올해 98.6으로 2년 연속 하락했다.
특히 중소 제조업체의 61.7%는 납품단가가 '적정하지 않다'고 답했으며, 평균적으로 17.2%는 올라야 한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금의 납품단가가 적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다른 업체와의 가격 경쟁으로 인한 납품가격 인하(49.7%)를 꼽은 기업이 가장 많았다.
하지만 조사에 참여한 업체 가운데 중 48.7%는 납품단가를 올려달라고 요청한 경험이 없다고 답했다.
거래가 끊길까봐 우려(26.0%)하거나 인상 요청이 수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24.7%)했기 때문이라고 업체들은 답했다.
다만, 납품단가 인상요청 경험이 있는 154개 업체 가운데 63.0%는 원 사업자가 요청을 일부 수용했고, 요청한 금액의 평균 41.1%를 올려줬다고 조사됐다.
중소 제조업체들은 거래를 할 때 '일정기간 일감(납품물량) 보장'(37.0%), '납품단가 제값받기'(31.3%), '납품대금의 신속한 현금결제'(19.0%) 등을 원한다고 답했다.
정부에는 '주기적 납품단가 반영 실태조사'(25.3%), '납품단가 후려치기에 대한 처벌 강화'(25.0%), '납품단가 연동제 도입'(21.7%) 등을 원한다고 응답했다.
그런가 하면 중소기업단체와 공정거래위원회에 설치된 불공정하도급 신고센터의 경우 조사 대상 업체 가운데 53.7%는 이용할 의향이 없다고 응답했다.
업체들은 센터 활성화를 위해 '신원 노출시 원사업자와의 거래관계 유지방안 마련'(44.7%), '위반행위 적발시 처벌·피해자 보상대안 마련'(28.0%)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정욱조 중소기업중앙회 성장지원실장은 "지난해 공정위가 대금 지급 실태를 집중 점검하는 등 불공정행위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중소기업이 현장에서 체감하는 납품단가 제값 받기는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