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관계 가늠자"…이달 위안부 문제 해결방안 도출될까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6-04 16:42:47
  • -
  • +
  • 인쇄
국교정상화 50주년 계기, 밀도있는 협의 가능성
"日 사죄 어떻게 할지, 그에 따른 조치가 핵심"

"한일관계 가늠자"…이달 위안부 문제 해결방안 도출될까

국교정상화 50주년 계기, 밀도있는 협의 가능성

"日 사죄 어떻게 할지, 그에 따른 조치가 핵심"



(서울=연합뉴스) 이귀원 기자 = 오는 14일부터 시작되는 박근혜 대통령의 미국 방문과 22일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을 앞두고 한일 간 일본군 위안부 문제 협의가 다시 주목되고 있다.

위안부 문제는 한일 간 과거사 갈등의 핵심 고리 중의 하나며, 박근혜 대통령도 위안부 문제 해결을 사실상 한일 정상회담의 전제조건으로 삼고 있다.

위안부 문제에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으면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 기념식도 훨씬 훈훈한 분위기 속에서 치러질 수 있고, 이는 정상회담을 비롯한 양국 간 관계개선의 전기가 될 수 있다.

또 한미동맹이 지난 4월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방미를 계기로 신밀월시대를 연 미일동맹과 비교 대상이 된 상황에서 위안부 문제의 진전은 박 대통령의 방미에도 짐을 덜 수 있다는 관측이다.

더 나아가 8월로 예정된 아베 총리의 종전 70주년 담화, 이른바 아베 담화에도 긍정적 파급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한일 양국이 이달 중 개최를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제8차 국장급 협의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한일은 지난 3월 서울에서의 제7차 회의 이후 현재까지 8차 회의 일정을 잡지 못하고 있다. 뭔가 진전을 내야 한다는 양측의 고민과 압박감으로 회의 개최가 지연되고 있다는 관측이다.

지난 3월 아베 총리와 단독 인터뷰를 진행했던 미국 워싱턴 포스트(WP) 칼럼니스트인 데이비드 이그네이셔스가 3일(현지시간) '아시아의 외교 저글링'이라는 제목의 기고문에서 "현재 한·일 양국 사이에는 막후에 강도 높은 협상이 진행되고 있다"며 "이달 중순으로 예정된 박근혜 대통령의 방미 이전에, 또는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인 오는 22일 이전에 일본이 성명을 내고 한국이 화답하는 것이 목표"라고 언급해 주목을 끌고 있다.

그는 한일 당국자들의 관측을 인용하는 방식으로 위안부 문제에 대해 참회하는 아베 총리의 성명이나 피해자에 대한 서한 가능성까지 거론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정부 당국자는 4일 "정부도 하루빨리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이라면서도 "특정 시한을 설정해 협의를 하는 것은 아니며, 아베 총리의 성명이나 서한 등의 부분이 안돼서 협상이 타결되지 않고 있는 것은 아니다"고 지적했다.

이 당국자는 아베 총리의 성명이나 서한에 대해 "일본 측이 취해야 할 조치 부분 가운데 하나가 될 수도 있겠지만 그게 전부는 아닐 것"이라며 "일본 측이 사죄를 하면 어떤 식으로 하고, 거기에 다른 조치는 뭘 할 것인지 등이 핵심 내용이고, 그런 내용에 대해 얘기를 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노광일 외교부 대변인도 정례브리핑에서 "일본이 결자해지 측면에서 성의있는 표시를 해야 한다"면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과 우리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해결이 돼야 한다는 것이 정부의 기본 입장"이라고 말했다.

한일간 위안부 문제 논의와 관련, 2012년3월 방한 때 사사에 겐이치로(佐佐江賢一郞) 당시 외무성 사무차관이 제시한 것으로 알려진 이른바 '사사에안'이 한때 주목을 받았다. 사사에안은 주한 일본대사의 사과, 인도적 조치를 위한 자금 지원, 피해자에 대한 일본 총리의 편지 등의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정부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명확한 책임인정과 그에 따른 배상 등 조치를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