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책반 직위 격상했지만'…충북도 메르스 대응 허술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6-02 18:54:09
  • -
  • +
  • 인쇄
교사, 환자 접촉 사실 파악 못해…뒤늦게 대책회의 '뒷북'

'대책반 직위 격상했지만'…충북도 메르스 대응 허술

교사, 환자 접촉 사실 파악 못해…뒤늦게 대책회의 '뒷북'



(청주=연합뉴스) 심규석 기자 =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이 확산하는 가운데 충북도 역시 대응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지만 곳곳에서 허점이 노출돼 안일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시종 지사는 2일 오전 집무실에서 공공의료기관 대책회의를 열고 메르스 대책을 집중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확진·의심환자와 접촉한 주민이 신고하면 즉시 조처할 수 있도록 24시간 비상연락체계를 유지하기로 했다.

대응 강화를 위해 비상대책반장을 오진섭 보건복지국장에서 정정순 행정부지사로 격상시켰다.

그러나 대책회의가 열린 첫날부터 비상대책반 가동이나 비상연락체계에 허점을 드러냈다.

한 초등학교의 교사가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아버지와 접촉한 것으로 확인돼 도교육청이 이날 이 교사가 근무하는 학교와 이 교사가 만난 동료교사들이 재직하는 학교 등 5개 학교에 대해 사흘간 휴업 결정을 내렸지만 도는 이 사실을 오후가 되도록 까맣게 몰랐다.

이 교사는 이날 아버지가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았다는 소식을 듣고 즉시 보건소에 연락했고, 보건소 직원들의 안내를 받아 도내의 한 병원에서 정밀검사를 받았다. 이 교사가 신고한 시간은 오전 11시였다.

충북도는 그러나 3시간이 지난 이날 오후 2시께 메르스 관련 언론 브리핑을 하면서도 "도내에서 메르스 환자와 접촉한 주민을 파악했지만 아직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는 비상연락 시스템이 전혀 가동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스스로 확인해준 셈이다. 보건소는 물론 이 교사를 정밀 검사한 병원도 충북도에 보고하지 않았던 것이다.

충북도 관계자는 이날 오후 4시 30분께가 돼서야 "언론 보도를 보고 알았다"며 "해당 교사와 연락이 되지 않고 있고, 보건소에서 보고도 받지 못했다"고 털어놨다.

충북도 비상대책반의 한 직원은 "해당 교사의 휴대전화에 연락을 달라는 메시지를 남겨 놨다"는 말만 되풀이했다.

충북도는 이날 오후 부랴부랴 대책회의를 다시 열었다.

오후 대책회의에서 비상대책반장인 정 행정부지사가 보고 시스템이 제대로 가동되지 않은 데 대해 호통을 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SNS상의 메르스 괴담 유포, 일선 학교 휴업 조치, 충주 자활연수원 메르스 격리대상 집단 수용 논란 등으로 충북에서도 하루종일 뒤숭숭했다.

그러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며 도민들을 진정시켜야 할 충북도가 이날 한 일이라고는 알맹이 없는 뒷북 대책회의뿐이었다. 대책반 직위를 격상하며 대응을 강화하겠다는 발표가 공허하게 들리는 이유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