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오송 임상연구병원 추진 '백방이 무효'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6-01 12:09:16
  • -
  • +
  • 인쇄
"수익성 없다" 민간 투자자 외면… 사업비 부담 탓 정부도 소극적
오제세 의원 '첨단의료단지특별법' 개정안 발의…통과 쉽지 않아
△ <<연합뉴스 DB>>

충북도 오송 임상연구병원 추진 '백방이 무효'

"수익성 없다" 민간 투자자 외면… 사업비 부담 탓 정부도 소극적

오제세 의원 '첨단의료단지특별법' 개정안 발의…통과 쉽지 않아



(청주=연합뉴스) 심규석 기자 = 청주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에 임상연구병원 건립 추진에 나선 충북도의 행보가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2009년부터 국내 병원과 해외 제약업체들을 대상으로 유치 활동을 벌였지만 별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제자리걸음을 계속하고 있다.

충북도와 오송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 임상병원 건립 추진위원회를 구성, 관이 주도하는 다양한 건립 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이 역시 어느 것 하나 시원한 해법은 아니다.

충북도가 검토한 임상연구병원 건립 구상은 크게 3가지다.

정부가 주도해 건립하거나 충북대병원이 주도하는 방안, 오송 첨복단지 내 오송병원 입주 승인을 받은 메디컬그룹 베스티안을 전면에 내세우는 것 등이다.

그러나 이런 방법 모두 한계가 있다.

충북도의 청사진대로 우선 임상시험센터를 세운 뒤 2019년까지 임상연구병원으로 규모를 키우려면 최소 70병상이 필요하다. 사업비는 460억원에 달한다.

충북도는 첨복단지 내에서 개발되는 신약·의료기기 시험과 국내외 임상 정보와 네트워크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정부의 지원이 필수라는 논리를 펴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임상연구병원 건립은 시기상조라는 입장이다.

오송 첨복단지 내 신약개발지원센터 등 이미 건립된 4개 센터 활성화를 꾀하는 게 우선이며, 이후 민간자본을 유치해 임상연구병원을 짓자는 얘기다.

건립비뿐 아니라 연간 100억원 안팎에 달하는 운영비도 부담이다.

충북도의 내년도 국비 지원 요청에 정부가 손사래를 치는 이유다.

오제세(청주 서원·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이 지난달 29일 임상연구병원 설립·운영을 국가가 지원할 수 있도록 '첨단의료복합단지 지정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을 발의했지만 힘을 발휘할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이 개정안이 국회에서 가결되면 정부가 주도하는 오송 임상연구병원을 기대할 수 있지만 법률안 통과를 낙관하기 어렵다.

충북대병원이 임상연구병원 건립을 주도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지만 이 역시 시기상조라고 보는 정부의 예비타당성 심사를 통과할 가능성이 작다.

충남대병원이 세종분원을 설립하는 시점과 맞물려 충청권 중복 투자 논란도 제기될 수 있다.

투자비의 70%를 자부담해야 하는데, 최근 5년 연속 적자를 기록한 충북대병원으로서는 자금력에도 한계가 있다.

지난해 12월 오송병원 입주를 승인받아 오는 11월 착공을 목표로 기본·실시 설계에 들어간 메디컬그룹 베스티안이 900병상 규모의 이 병원을 임상연구병원으로 활용하는 카드 역시 문제는 있다.

화상 진료 특화 병원이어서 모든 의료 분야의 임상시험병원으로서 기능이 미흡할 수 있다.

결국 도와 오송 첨복재단이 검토하는 방안에 모두 '하자'가 있는 셈이다.

충북도는 민간 건립 후 국가가 장비 구입과 연구개발 예산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지만 미온적인 정부 입장을 돌리지 못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오송을 바이오산업의 메카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임상연구병원 건립이 필수적이지만 정부가 소극적이어서 쉽지 않다"고 털어놨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