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연합뉴스 DB, IHS 제인스디펜스위클리 제공 >> |
"남중국해 中무기반입 확인"…미일 vs 중 '인공섬 설전'(종합2보)
미일 "만족 알면 욕되지 않을것"…중 "군사력 동원해 긴장 부채질"
(서울·베이징=연합뉴스) 강건택 권수현 기자 이준삼 특파원 =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점입가경으로 빠져들고 있다.
중국이 이 해역에 건설 중인 인공섬에 무기를 반입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30일 열린 제14차 아시아안보회의에 참석한 미국과 중국의 군 수뇌부 간 신경전이 더욱 뜨겁게 달아올랐다.
미 국방부는 중국이 남중국해 난사군도(南沙群島·스프래틀리 제도)의 인공섬으로 무기를 반입한 사실을 공식 확인했다고 일본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스티브 워런 국방부 대변인은 기자들에게 "중국이 조성한 인공섬 중 하나에서 무기를 확인했다"고 말했다.
그는 "인공섬의 군사화에는 당연히 반대한다"며 중국의 무기 배치를 용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워런 대변인은 중국이 인공섬에 반입한 무기의 종류가 무엇이고, 해당 무기가 아직 섬 안에 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앞서 28일 난사군도에 조성한 중국 인공섬 중 한 곳에 이동식 대포 2기가 설치된 사실을 미군 항공정찰에서 포착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와 관련, 애슈턴 카터 미 국방장관은 싱가포르에서 열린 아시아안보회의(일명 샹그릴라 대화)에서 중국의 인공섬 조성에 대해 "즉각적이고 영구적인 중단"을 요구하며 압박의 수위를 높였다고 AFP 통신, 홍콩 봉황망(鳳凰網) 등 외신들이 전했다.
카터 장관은 연설에서 "첫째로 우리는 모든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원하며 이를 위해서는 (남중국해에서 이뤄지는) 모든 간척 사업이 즉각적이고 영구적으로 중단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해당 지역에 대한 정찰과 초계 활동을 계속하겠다고 선언한 뒤 "중국은 다른 영유권 당사국들의 점유지를 모두 합친 것보다 큰 8.1㎢의 부지를 18개월 만에 간척했다"며 "중국은 국제적 원칙과 규범에 보조를 맞추지 못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어 "중국이 얼마나 더 많은 인공섬을 만들지는 불분명하다. 이것이 이 해역을 긴장의 근원으로 만들고, 전 세계 신문의 1면에 나오게 하는 이유"라고 지적했다.
카터 장관은 "남중국해 분쟁에서 군사적 해결은 안 된다. 지금은 모두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할 해결책을 찾는 데 초점을 맞춘 새 외교 전략이 필요한 때"라며 중국과 동남아시아 관련국들이 '남중국해행동강령(COC)'을 체결하라고 촉구했다.
나카타니 겐(中谷元) 일본 방위상도 연설에서 "남중해 (인공섬) 건설 문제뿐 아니라 누군가가 동중국해의 현상 변경을 시도하고 있어 일본을 포함한 아주 많은 국가들이 우려를 표시한다"며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열도 문제와 중국의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 설정에 초점을 맞췄다.
또 "중국이 책임감 있는 대국으로 행동하기를 희망한다"며 '지족불욕, 지지불태'(知足不辱 知止不殆·족함을 알면 욕되지 않고, 그칠 줄 알면 위태롭지 않다)는 노자의 '도덕경' 구절을 인용하기도 했다.
미일 국방장관은 따로 양자회담을 하고 중국의 영유권 주장을 우려하고, 이에 대한 반대 입장을 재확인했다.
반면, 아시아안보회의에 참석중인 중국 군사과학원 소속 자오샤오줘(趙小卓) 대교(대령과 준장사이의 계급)는 카터 장관의 연설 직후 이어진 질의응답 시간에 "카터 장관의 비난이 근거없고 비건설적"이라고 반박했다.
자오 대교는 "중국의 행동은 합법적이고, 합리적이며, 정당하다"라며 미국이 남중국해 분쟁 개입의 근거로 제시하는 항행 자유 문제와 관련해서도 "이 해역에서 항행의 자유가 한 번도 침범받은 적이 없다", "미국이 이를 더욱 불안정하게 하고 있다"고 일축했다.
또 "항공 촬영을 하고 정찰기를 보내는 것이 이 지역에 유익한 것이냐"고 반문하며 "남중국해가 그동안 안정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중국이 절제해왔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중국 국방부 외사판공실 관여우페이(關友飛) 주임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카터 장관의 남중국해 발언은 객관성, 공정성이 결여돼 있다고 공격하며 미국의 군사력을 동원한 '항행자유' 문제 제기는 국제법상 항행자유를 곡해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샹그릴라 대화에 중국 대표로 참석한 쑨젠궈(孫建國) 인민해방군 부총참모장은 오는 31일로 예정된 연설에서 카터 장관의 발언을 반박하고 미국의 개입을 강하게 비판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리셴룽(李顯龍) 싱가포르 총리는 샹그릴라 대화 개막식 기조연설에서 남중국해 문제와 관련, "현재까지 중국의 굴기는 평화적이었고 이것이 지속될지는 미중 관계에 달렸다"며 "미중 관계는 결코 제로섬 게임이 아니다. 상호 경쟁적이면서도 상호 의존적"이라고 말했다고 인민일보 자매지 환구시보(環球時報)가 이날 보도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