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9일 태국 방콕에서 열린 로힝야 난민 사태 해결을 위한 국제회의(AP=연합뉴스) |
미얀마 "로힝야 난민사태 우리 책임만은 아니다"(종합)
(방콕=연합뉴스) 현경숙 특파원 = 동남아시아 로힝야족 난민 사태의 진원지로 지목되는 미얀마는 이번 사태가 자국만의 책임이 아니라고 밝혔다.
미얀마 외무부 흐틴 린 국장은 29일 방콕에서 열린 '인도양 비정규 이주자에 관한 특별회의'에서 미얀마 내 로힝야족들에게 국적을 부여하라는 볼커 투어크 유엔난민기구(UNHCR) 보호담당 부대표의 요구에 이같이 밝혔다.
흐틴 국장은 선상 난민(보트 피플) 불법 이주 문제의 책임과 관련해 "우리나라만 지목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투어크 부대표는 로힝야족 보트 피플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미얀마가 이들에게 국적을 부여하는 등 전적으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동남아시아에서는 이달 들어 미얀마에서 종교, 종족 박해를 피해 탈출하려는 로힝야족과 외국에서 일자리를 구하려는 방글라데시 출신 이주 노동자들을 수백 명씩 태운 선박들이 해상에서 연이어 발견돼 몇 년 만에 최악의 난민 사태를 맞았다.
이 때문에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은 해상에서 로힝야족 난민과 방글라데시 이주 노동자 3천500여 명을 구조해 임시 수용소에 수용 중이다.
유엔은 아직 미얀마 해안에서 인도네시아 해안에 이르기까지 안다만해 바다 위에 이들 보트 피플 2천500여 명이 표류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했다.
윌리엄 래시 스윙 국제이주기구(IMO) 국장은 2012년 이후 로힝야족 16만여 명이 미얀마에서 다른 나라로 이주했으며, 이 중 2만5천여 명이 올해 미얀마를 탈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동남아를 강타한 난민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미얀마, 방글라데시 등 역내 관련 국가들과 미국, 스위스, 아프가니스탄, 호주 등 17개 국가, UNHCR, IMO, 유엔마약범죄사무소(UNODC) 등 국제기구의 관계자들이 참가한 가운데 열렸다.
말레이시아 대표단은 로힝야족 및 방글라데시 이주 노동자 선상 난민 사태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미얀마, 방글라데시,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이 몇 주일 안으로 사태 논의를 위한 정상회담을 열자고 제의했다.
앤 리처드 미국 국무부 차관보는 이번 회의가 미얀마 내 인권존중 및 차별철폐, 난민 발생지의 경제 개발 등 장기적인 방안 마련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이 지금까지 로힝야족 난민 1천여 명을 이미 받아들였다며 UNHCR이 이번 사태를 해결하도록 지원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따나삭 빠띠마프라곤 태국 외무장관은 "인도양 비정규 이주자 유입이 우려스러운 수준에 도달했다"며 선박을 타고 표류 중인 난민들을 구조하는 데 필요한 수색 작업을 하기 위해 미국이 자국 푸껫 공군기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고 말했다.
미국은 이미 말레이시아 군 기지를 근거로 해 정찰기를 동원한 난민 수색 작업을 시작했다.
회의 참석자들은 보트 피플 참사를 막기 위해 관련 국가들과 국제기구가 참여하는, 포괄적이고 효과적인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데 입을 모았으나 국가 간 로힝야 난민 분산 수용 등의 구체적인 대책은 결정되지 않았다.
참석자들은 이번 사태를 해결하기 위한 동남아 지역 차원의 대응, 수색 및 구조 활동 강화, UNHCR과 IMO의 난민 접근 보장, 로힝야 난민 관련 정보 공유, 난민 구조활동을 위한 공동 태스크포스 운영 등을 제안했다.
이번 난민 사태는 미얀마가 로힝야족 난민 발생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데다 보트 피플이 미얀마, 방글라데시에서 발생해, 주로 태국을 경유한 뒤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로 들어가는 등 복잡하게 얽혀 있어 해결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미얀마는 자국에 거주하는 100만 명 이상의 로힝야족들이 방글라데시에서 밀입국했다며 국적을 부여하지 않고 교육, 취업, 결혼, 거주 등의 자유를 크게 제한하고 있다.
이에 앞서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은 지난 20일 로힝야족 난민 사태를 논의하기 위해 긴급 외무장관 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는 1년 내 본국 송환 및 제3국 정착을 전제로 로힝야 난민들을 임시 수용하기로 합의했으나태국은 인도적 지원은 제공하되 이들을 수용할 수는 없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