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4월 전반적 수출 부진에도 벤처기업은 '양호'
중국·일본 부진 속 미국·베트남 견인차
(서울=연합뉴스) 이웅 기자 = 올 들어 국내 기업의 수출이 전반적으로 후퇴하는 가운데 벤처기업 수출은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1∼4월 국내 벤처기업들의 수출액은 55억8천9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0%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기업 수출액이 1천797억1천만 달러로 4.3% 감소한 것과 대조적이다.
이에 따라 전체 기업에서 차지하는 벤처기업의 비중도 3.1%로 지난해 2.9%보다 높아졌다.
이 같은 벤처기업의 수출 호조에는 대(對) 미국·베트남 수출이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1∼4월 벤처기업들의 미국 수출액은 7억2천900만 달러로 15.5% 늘었으며, 특히 베트남은 6억100만 달러로 69.1% 급증했다.
미국은 경기 회복을 바탕으로 세계 IT·전자 산업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베트남은 한국 제조기업의 현지 투자가 늘어나면서 IT 부품·장비 수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홍콩도 4억2천200만 달러로 12.6% 늘었으며, 대만은 1억9천600만 달러로 44.4% 증가했다.
반면 국내 벤처기업의 가장 큰 수출시장인 중국은 14억4천200만 달러로 0.7% 감소했으며, 일본은 4억4천700만 달러로 11.9% 줄었다.
중국은 전반적인 경제 성장이 둔화된 가운데 IT·전자 산업이 내수시장 위주로 재편되면서 그동안 수입에 의존해온 부품을 자국 제품으로 대체해 가고 있다.
일본은 엔저(엔화 약세) 현상이 지속되면서 수입품에 비해 저렴해진 국내 부품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다.
올해 벤처기업의 주요 수출 품목을 보면 반도체가 3억7천700만 달러로 13.0% 늘었으며, 반도체장비도 2억4천300만 달러로 3.8% 증가했다.
계측제어분석기는 3억3천800만 달러로 54.4%, 기타 기계류는 2억2천800만 달러로 27.4% 급증했다.
벤처기업 수출액은 2011년 175억2천200만달러로 역대 최대를 기록한 이후 2012년 162억700만 달러(-7.5%), 2013년 152억4천600만 달러(-5.9%)로 2년 연속 감소하다가 지난해 167억 달러(9.5%)로 회복세로 돌아섰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