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세월호 인양.. 이르면 9월 현장작업 착수 (서울=연합뉴스) 정부가 세월호 선체를 인양하기로 결정하고 이르면 9월부터 현장작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정부는 지난달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17개 부처로 구성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어 세월호 중앙사고수습본부인 해수부가 앞서 제출한 세월호 선체 인양 결정안을 심의하고 원안대로 확정했다. 김우남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장이 세월호 참사 1주기를 하루 앞둔 4월 15일 공개한 세월호 선체처리 기술검토 태스크포스(T/F)의 3차원 선체분석 영상. << 김우남 의원실 제공 >> photo@yna.co.kr |
"세월호 인양 업체 선정 시 가격보단 기술 중시"
(세종=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해양수산부는 세월호 인양업체 선정을 위한 국제입찰공고를 22일 내기로 하고 구체적인 조건을 21일 공개했다.
해수부는 이번 입찰에서 미수습자 9명의 유실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인양업체에 세월호 선체원형을 온전하게 인양할 수 있는 기술과 잔존유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을 기본적으로 요구하기로 했다.
다음은 이철조 세월호 선체인양추진단 부단장 등 해수부 관계자들 일문일답.
-- 인양업체 평가는 어떻게 이뤄지나.
▲ 기술평가 점수(80%)와 가격평가 점수(20%)를 합산한다. 배점 비율을 보면 가격보다 기술을 중시했다. 특히 기술평가 점수가 만점의 85%에 못미치는 업체는 최저가격을 써내더라도 인양업체로 선정될 수 없다. 즉, 총점을 100점으로 환산했을 때 기술점수가 68점이 안 되면 탈락이다. 우수한 기술을 동원하면 가격이 당연히 오르게 된다. 이 때문에 기술평가에서 일정 점수를 받지 못하면 가격이 아무리 싸더라도 인양업체로 선정될 수 없게 했다. 기술을 가장 중요하게 본 것은 이번 인양이 세계에서 가장 어려운 현장 요건에서 이뤄져야 하기 때문이다.
-- 앞서 해수부는 세월호만한 규모의 선체를 인양해본 경험이 없기 때문에 외국업체를 이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상황에서 인양업체의 기술을 평가할 수 있는 전문가나 단체는 있나.
▲ 우리나라는 조선분야에서 세계최고의 기술을 가지고 있어 나름대로 기술력을 가진 전문가들이 있다. 이들을 적극 활용하는 한편 세계적인 해양구난 컨설팅 업체인 영국 TMC의 전문가들도 활용해 국내 전문가들이 놓치는 부분도 살펴보게 하겠다.
-- 인양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추가비용이나 사고책임은 누가 책임지나.
▲ 기본 개념은 부분적 인양 실패 등을 포함해 모든 사고에 대해서 인양업체가 책임을 지도록 할 계획이다. 당연히 인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사 사고도 책임을 져야 한다. 추가 비용도 기본적으로 입찰업체가 책임을 지도록 하겠다. 인양작업이 지연돼도 비용이 계속 늘지 않도록 총 계약금액을 정해 계약을 맺겠다.
-- 외국업체가 국내업체와 컨소시엄을 구성하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구체적인 방안은.
▲ 컨소시엄을 구성하기로 한 경우에는 평가 때 가점을 주도록 하겠다. 가점 비중은 검토 중이다. 국내업체의 컨소시엄 참여 비율을 몇 %로 할지, 10%로 할지 20%, 30%로 할지 아직 검토 중이다. 이와 관련해 오후에 전문가 자문회의를 연다. 가점을 적게주면 국내업체들의 참여 비중이 낮아질 수 있지만 높게 주기도 어렵다. 국제입찰이기 때문에 세계무역기구(WTO)의 정부 조달 관련 협정을 준수해야 한다. 때문에 국내업체 참여 비율을 제한할 수는 없다. 다만 세월호 인양 과정에서 국내업체들이 기술도 많이 전수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
-- 세월호를 인양할 만한 국내업체나 관심을 보인 업체가 있나.
▲ 이름을 거론하기는 어렵지만 입찰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업체는 국내외 각각 10개 안팎이 있다. 구난업체 위주로 참여할 것으로 전망하지만 조선해양플랜트 업체들도 참여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보고 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