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발언하는 반기문 총장 (서울=연합뉴스) 윤동진 기자 =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19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코리아 지도자 정상회의'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
유엔글로벌콤팩트회의 개최…반기문 총장 연설
'지속가능발전 위한 기업의 참여' 논의
(서울=연합뉴스) 김윤구 기자 = '지속가능 발전 달성을 위한 기업의 참여'를 주제로 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코리아 지도자 정상회의'가 19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렸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기조연설자로 나서 "올해야말로 글로벌한 액션의 해"라면서 유엔이 올해 9월 채택할 예정인 지속가능발전목표(SDG)와 12월에 있을 기후변화 협약 회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유엔 SDG에 참여하면 사업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막대한 재원이 필요하다면서 "한국의 기업활동을 해외에 보여줄 좋은 기회"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 기업은 역동적이며 성장하고 있다"면서 "더욱 창의성을 발휘하고 글로벌 어젠다에 이바지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그는 또 "한국은 항상 모든 부분에서 적어도 10위 안에는 들어가려고 노력하는 국가지만 온실가스 배출량 상위 10위인 것은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반 총장에 이어 전 인도네시아 대통령인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이사장도 기후변화 대응에 관해 기조연설을 했다.
앞서 최경환 경제부총리는 축사에서 "기업이 다른 사회적 주체와 협의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책임을 다할 때만 장기적 성장이 가능하다"면서 "인권 보호의 주체라는 책임의식을 가져야 하며 노동의 질과 안정성이 담보되는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연설자로 나선 조지 켈 유엔글로벌콤팩트 사무총장은 "SDG 합의와 신 기후체제 설정이 계획된 2015년은 유엔에 역사적 해"라면서 "이제는 기업이 앞장서서 유엔의 어젠다를 지지할 때"라고 말했다.
'지속가능 경영의 3대 축'(triple bottom line)이라는 개념을 주창한 존 엘킹턴 볼란스 창립자 겸 대표이사는 "SDG에서 강조되는 기후변화를 비롯한 다양한 리스크는 기업에 점점 더 중요한 전략이 돼 가고 있다"고 말했다.
마이클 아도 유엔 기업과 인권 워킹그룹 의장은 "기업이 지속가능한 발전에 참여하려면 경영활동에 인권과 같은 보편적인 가치를 일관되게 적용해야 한다"면서 "이제 사람이 중심이 되는 개발과정에서 기업의 참여가 가져올 기회와 도전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날 회의에서는 현대아산과 개성공단 입주기업 등 7개 기업이 참여한 가운데 유엔글로벌콤팩트의 '평화를 위한 기업활동'(B4P)의 한국 발족식도 진행됐다.
또 한국거래소의 '지속가능한 증권거래소 이니셔티브'(SSE) 가입식도 이어졌다.
이번 회의는 기업이 인권, 노동, 환경, 반부패 분야의 10대 원칙을 기업 운영에 내재화하도록 권장하고 실질적 방안을 제시하는 조직인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가 본부와 함께 개최했다.
회의에는 김창근 SK[003600] 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김수천 아시아나항공[020560] 사장 등을 비롯해 400여 명의 국내외 기업, 정부, 유엔, 학계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인권, 환경, 평화, 반부패 등 4가지 주제의 분과 세션도 이어진다.
또 지속가능발전목표 실현을 위한 기업의 동참을 호소하는 내용의 유엔글로벌콤팩트 서울선언도 채택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