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IS 격퇴에 특수부대 첫 활용…지상군투입으로 이어질까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5-17 01:11:49
  • -
  • +
  • 인쇄
오바마, 공화당 압박에도 전면적인 지상군 투입엔 강경 반대


미국, IS 격퇴에 특수부대 첫 활용…지상군투입으로 이어질까

오바마, 공화당 압박에도 전면적인 지상군 투입엔 강경 반대



(워싱턴=연합뉴스) 심인성 특파원 = 미국이 수니파 무장조직 '이슬람국가'(IS) 격퇴작전에 '델타포스'로 알려진 미군 특수부대를 처음으로 투입하면서 한동안 잠잠했던 지상군 투입 논란이 다시 불거질 조짐이다.

미군이 인질 구출이 아닌 IS 지도자 체포 및 사살을 위해 특수부대를 동원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이는 미군의 중대한 전략 변화로 받아들여진다.

그동안 공습에만 의존했던 IS 격퇴작전이 지상으로 한 발짝 더 다가가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6월 전투병이 아닌 보안요원을 중심으로 775명의 미군을 이라크에 파견하면서 IS 격퇴작전을 처음 시작한 미국은 그동안 자국 주도의 국제연합군 공습과 이라크·시리아 현지 지상군을 활용해 IS를 격퇴한다는 '투트랙' 전략을 고수해 왔다.

일단 미군 특수부대가 15일(현지시간) 밤과 16일 새벽 사이에 시리아 동부 알아므르에서 벌인 IS 고위 지도자 아부 사야프 체포 및 사살 작전은 전면적인 지상군 투입과는 거리가 있다.

이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지난 2월 초 미 의회에 IS를 상대로 군사력을 동원할 수 있는 3년 기한의 무력사용권(AUMF)의 승인을 요청하면서 공개한 제한적 지상전 구상의 일환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당시 "미국이나 동맹국 관련 인력 구출작전, IS 지도부를 겨냥한 군사작전 시 특수부대 활용 등 좀 더 제한적 상황에 한해 지상전을 수행할 수 있는 유연성을 발휘할 것"이라면서 "일례로 만약 IS 지도자들의 회합 정보를 입수했는데 현지 파트너 군대가 그들을 잡을 능력이 없다면 미군 특수부대에 작전에 나서도록 명령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작전이 사실상 특수부대를 활용한 제한적 지상전의 첫 적용 사례인 셈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앞으로도 '정보'가 확실할 경우 IS 수뇌부를 타깃으로 한 제한적 지상전을 전개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전면적인 지상군 투입에 대해서는 여전히 '절대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그동안 여러 차례 "지상군 투입은 절대 없을 것"이라는 점을 강조해 왔으며, 특수부대를 활용한 제한적 지상전에 대해서도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 전쟁처럼 장기적이고 대규모인 지상전을 허용하는 것은 아니다"는 점을 분명히 해 왔다.

공화당 주도의 미 의회가 오바마 대통령이 요청한 IS 격퇴를 위한 무력사용권이 "너무 미약하다"며 승인하지 않고 있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존 매케인(애리조나) 상원 군사위원장을 비롯한 공화당 강경파는 지상군 투입없는 IS 격퇴작전으로는 이번 전쟁에서 승리할 수 없다며 지상군 투입을 계속 압박하고 있다.

케빈 매카시(캘리포니아) 공화당 하원 원내대표는 지난달 "오바마 대통령의 이번 무력사용권은 현재의 (중동 위기) 상황에 대한 우리의 대처 능력을 약화시킬 뿐이며, 하원에서 통과에 필요한 218표를 절대 얻을 수 없다"며 공개적으로 '사망선고'를 내리기도 했다.

공화당은 IS의 '돈줄'인 석유·가스 밀매 담당 고위 지도자인 아부 사야프를 사살한 이번 작전을 계기로 지상군 투입 압박의 고삐를 더욱 바짝 죌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미국은 지상군 투입 논란과 별개로 전황이 좋지 않은 이라크에 대해 무기지원을 강화하고 있다고 미 언론이 전했다.

조 바이든 미국 부통령은 15일 하이데르 알아바디 이라크 새 총리에게 이라크 서부 안바르 주의 주도인 라마디를 사수하기 위해 대전차 로켓인 AT4 등 무기를 긴급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IS가 전날 안바르 주 일대에서 전투를 벌인 끝에 라마디 정부청사 등 시 대부분 지역을 장악한 뒤 나온 조치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