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남중국해 충돌 "긴장완화" vs. "영토주권"(종합)
(베이징=연합뉴스) 홍제성 김덕현 특파원 = 미국과 중국이 각국간의 영유권 분쟁이 치열한 남중국해 문제를 놓고 강하게 충돌했다.
중국을 방문 중인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은 16일 중국 측에 남중국해에 긴장완화를 위한 조치를 촉구하면서 중국의 인공섬 건설에 우려를 표명했다.
이에 대해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은 중국의 영토주권 수호 의지를 내세우며반격했다.
케리 장관은 이날 베이징(北京)에서 왕 부장과 회담 후 가진 공동 기자회견에서 "미국은 남중국해에서 이뤄지는 중국의 인공섬 건설에 우려를 표시했다"면서 "중국 측에 긴장 완화와 외교적 신뢰를 증진할 수 있는 조치들을 취할 것을 촉구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 지역은 아세안(ASEAN)과 중국간의 합의를 포함해 외교적 수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국은 최근 중국이 스프래틀리 군도(중국명 난사<南沙>군도)에서 건설 중인 인공섬의 12해리 이내에 군용기와 군함을 보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중국에 대한 견제 수위를 높여왔다.
이에 대해 왕 부장은 "'난사군도'와 주변 도서에서 이뤄지는 인공섬 건설은 완전히 중국 주권 범위 내의 일"이라면서 "인민들의 요구이자 합법적인 권리"라고 맞섰다.
왕 부장은 "중국의 국가 주권과 영토 안정을 수호하려는 의지는 확고하며 절대로 흔들림이 없을 것"이라고 못박았다.
앞서 중국은 미국의 계획을 도발적 조치로 규정하고 이를 중단하라고 촉구하면서 '엄중한 우려'를 표명했다.
중국은 남중국해에 현재 7개의 인공섬을 건설 중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최근 한 곳에 군용기가 드나들 수 있는 규모의 활주로를 만들고 있다.
현재 스프래틀리 군도 일대의 남중국해 영유권을 놓고 중국을 포함해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필리핀, 대만, 베트남 등 6개국이 맞선 상태다.
미국과 중국이 남중국해 이슈에서 한치도 물러서지 않고 충돌함으로써 남중국해의 긴장은 당분간 높아질 가능성이 커 보인다.
양국 장관은 남중국해 문제 외에도 갈등 현안인 사이버 안보 및 무역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케리 장관은 "사이버 안보와 무역 문제를 포함해 많은 부분에서 미중간에 견해차가 존재한다"고 말했다.
양국 장관은 회담에서 이란 핵문제, 한반도 문제,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방미 문제, 미중 전략경제대화, 양자 투자협정 협상 등도 논의했다.
왕 부장은 이와 관련, "중국과 미국이 양자 투자협정 협상의 가속화를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한다"면서 미국 측에 대(對)중 첨단기술 수출의 관리·통제를 완화해 줄 것을 촉구했다.
왕 부장은 회담 모두발언에서 "양국이 전략적 소통을 유지하고 갈등을 적절하게 처리함으로써 건강하고 안정적인 발전관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케리 장관의 방중 전에 일부 인사들이 조화롭지 못한 목소리를 냈다"면서"케리 장관의 방중은 싸우거나 대항하러 온 것이 아니라 소통하고 협력하러 온 것으로 믿는다"면서 상호 이해와 협력 증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케리 장관은 이날 오후 리커창(李克强) 총리를 예방하고 미중간 현안과 양자관계를 논의했다.
리 총리는 "세계 최대의 개발도상국인 중국과 세계 최대의 선진국인 미국이 밀접한 고위층 교류와 소통을 유지하는 것은 양국과 세계에 모두 유리하다"고 말했다.
케리 장관은 17일까지 머물면서 시 주석도 예방할 것으로 알려졌으며 중국 측의 외교, 국방, 안보 등 분야의 관리들과도 회동한 뒤 서울을 찾는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