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감 현안 뒤로 미뤄 "국경분쟁 상황 악화 방지"
중국·인도 경협 밀착…쉬운것 먼저 어려운것 나중 해결(종합2보)
24개 계약·협정 체결 "고속철 프로젝트 포함 총 100억 달러"
민감 현안 뒤로 미뤄 "국경분쟁 상황 악화 방지"
(베이징=연합뉴스) 홍제성 특파원 =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의 중국 방문을 계기로 세계의 양대 인구대국인 중국과 인도가 24개에 달하는 계약과 협정을 맺는 등 경제협력을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와 모디 총리는 15일 베이징(北京) 인민대회당에서 양국 총리 회담을 열어 ▲ 공동의 발전 모색 ▲ 분야별 실질적 협력 심화 ▲ 더욱 긴밀한 발전적 동반자 관계 구축 등에 합의했다고 반관영 통신인 중국신문망(中國新聞網)이 보도했다.
리 총리는 "세계의 양대 개발도상국인 중국과 인도의 관계 발전은 25억 인민의 복지와 세계의 발전·번영과 관계된 문제"라면서 "양국은 경쟁하는 적수가 돼서는 안 되며 중요한 협력 동반자가 돼야 한다"고 협력 필요성을 강조했다.
리 총리는 경제적으로는 양국의 장점 활용, 상호 보완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기초시설(인프라) 건설·산업화 현대화 프로세스·방글라데시-중국-인도-미얀마(BCIM)를 잇는 경제회랑 개발, 철도, 산업단지 건설 등을 중요한 협력 분야로 제시했다.
모디 총리도 "인도와 중국은 개발도상의 대국으로 경제적 상호 보완성이 매우 크다"면서 도시화 건설·인프라, 산업단지, 친환경 에너지, 금융, 정보기술(IT) 산업, 관광 산업 등의 분야에서의 협력 강화를 희망했다.
양국은 두 총리가 지켜보는 가운데 철도, 광업, 교육, 우주항공, 품질검사(검역) 영화·TV, 해양, 지질과학, 정당·싱크탱크·지방 간 교류 등 24개 협력에 서명했다.
양국간 체결된 협력문건은 고속철 프로젝트를 포함해 총 100억 달러에 달한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세계의 주요 온실가스 배출국인 양국은 이번 회담을 계기로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강화함으로써 기후변화에 공동 대응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양국간 경제협력은 서로의 필요와 이익이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인도는 대형 인프라 건설에 장기적으로 1조 달러(1천100조원)의 자금이 필요하며 '실크로드' 제국의 부활을 꿈꾸는 중국으로서는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 추진에 인도의 협조가 절실한 상황이다.
양국은 가장 큰 걸림돌이던 국경 분쟁에 대해서도 해결 노력을 강화하고 상황 악화 방지를 위한 조치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국군은 매년 상호 방문, 국경 지역 지휘관 간의 교류 확대, 군사 핫라인 구축 등을 통해 상황 악화를 방지키로 했다.
리 총리는 "충분히 지혜를 모아 변경 문제 등 민감한 문제를 적절하게 처리해 나가자"고 강조했고 모디 총리도 "인도와 중국 관계는 성숙했다"면서 "변경 문제 등 민감한 문제를 잘 처리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양국간 합의는 국경분쟁 등 민감한 이슈가 경제협력 추진에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관리해 나가자는데 공감대를 모은 것으로 해석된다.
이를 두고 양국이 '구동존이'(求同存異·차이점을 인정하면서 같은 점을 추구)와 '선이후난'(先易後難·쉬운 것 먼저 하고 어려운 것은 나중에)식 접근법을 사용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모디 총리는 리 총리에게 "양국관계의 전면적인 발전을 가로막는 일부 이슈에 대해 중국의 접근방식을 재고해 달라"고 요구해 일부 국경 분쟁 등 현안에 대해서는 여전한 이견이 있었음을 시사했다.
리 총리도 공동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양국 간에 차이점과 이견이 있다는 것을 부인하지 않는다"면서도 차이점보다는 공동의 이익이 훨씬 크다는 점을 강조했다.
모디 총리는 오후에는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모교인 칭화(淸華)대학을 방문, 교수와 학생들을 상대로 강연하고 리 총리와 함께 베이징 시내 천단공원에서 요가와 태극권 시연 행사에도 참석했다.
요가 전도사를 자처하는 그의 이번 행보는 전날 시 주석의 고향인 시안(西安)에서 이뤄진 문화·소프트외교의 연장선에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시 주석은 전날 시안에서 모디 총리를 맞는 파격적인 예우를 통해 인도와의 관계 발전을 향한 강한 의지를 피력했다.
모디 총리는 이날 저녁 베이징 방문을 마치고 마지막 행선지인 상하이(上海)로 이동, 중국 경제인들과의 회동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