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장관 "인문학 소양·이공계 기술 융합과정 만들것"(종합)
고용부 '인문계 고용촉진 대책' 토론회
(서울=연합뉴스) 안승섭 기자 = 고용노동부는 15일 서울 이화여대 LG컨벤션홀에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과 공동으로 '인문계 고용촉진 대책' 공개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는 고용부가 추진하는 '인문·기술 융합 훈련과정'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듣는 자리였다. 학계 전문가, IT산업 종사자, 대학 취업지원부서장, 지자체 일자리 담당자 등 200여명이 모였다.
토론회는 한국 전산학(컴퓨터공학) 박사 1호로 국내 최고 기업 데이터베이스·보안 전문가로 꼽히는 KAIST 문송천 교수의 '소프트웨어는 인문학' 특강으로 시작됐다.
문 교수는 "소프트웨어는 법학과 같이 양파 구조를 가지고 있는, 그 자체로 이미 완벽한 인문학"이라며 "인문학 전공자들이 소프트웨어 분야에 도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로, 자신의 고유 영역을 탈환한다는 적극적인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삼성전자와 애플을 보면 우리가 왜 소프트웨어를 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다"며 "소프트웨어는 우리의 살길이며 우리가 넘어야 할 거대한 산으로, 자신감을 가지고 도전한다면 큰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강에 이어 이상준 직능원 직업능력개발센터장이 '인문사회계 대학생 교육훈련 요구조사 결과'를,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정우철 팀장이 '인문계 대상 SW 교육훈련 과정 및 인력수요 전망'을 발표했다.
정 팀장은 "세계적으로 소프트웨어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고, 국내 소프트웨어 분야 인력부족률도 4.4%에 달해 다른 산업보다 훨씬 높다"며 "소프트웨어 산업에서의 인력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인문계 전공자들이 도전할 만하다"고 밝혔다.
주제 발표 후에는 참석자들이 인문계 전공자 고용 촉진 대책을 논의했다.
이기권 고용부 장관은 "정부는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인문계 전공자들을 위해 특단의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며 "인문학적 소양과 이공계 기술을 융합할 수 있도록 IT, 소프트웨어 분야 등의 좋은 교육 과정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고용서비스와 복지서비스의 융합 모델인 '고용복지플러스센터'처럼 대학 내 부서별, 예산별로 나눠진 취업지원 기능을 '청년고용센터'로 통합, 맞춤형 원스톱 서비스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기업, 대학, 지자체 등이 힘을 합쳐 재학 중 일 경험 기회를 대폭 확대할 수 있는 체계도 구축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