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등 5개 지자체 남아도는 상수도시설 공동활용 추진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5-15 14:09:15
  • -
  • +
  • 인쇄
시설 절반 놀려…'낙동강 남부권 수도사업자 협의체' 연내 구성

부산 등 5개 지자체 남아도는 상수도시설 공동활용 추진

시설 절반 놀려…'낙동강 남부권 수도사업자 협의체' 연내 구성



(부산=연합뉴스) 신정훈 기자 = 과잉 또는 중복투자 논란을 빚는 자치단체 상수도 시설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부산을 비롯해 울산, 양산, 김해, 창원 등 5개 지자체가 참여하는 '상수도시설 공동활용 체계 구축 사업'이 추진된다.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는 부산시, 울산시, 경남 양산·김해·창원시가 참여하는 가칭 '낙동강 남부권 수도사업자 협의체'를 올해 안으로 구성할 계획이라고 15일 밝혔다.

부산시에 따르면 현재 5개 시의 상수도 시설 용량은 하루 384만여㎥에 달한다.

지자체별로는 부산이 하루 209만9천㎥, 울산이 55만㎥, 양산이 22만3천㎥, 김해가 27만㎥, 창원이 70만㎥의 수돗물 생산 시설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5개 시의 실제 하루 공급량은 평균 193만㎥에 불과하다.

5개 시의 상수도 보급률이 평균 98.6%인 것을 감안하면 사실상 시설용량의 절반가량을 놀리는 셈이다.

시설용량 과다는 생산원가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처럼 지자체별로 상수도시설이 남아돌지만, 지자체 간 공동활용 시스템(상호 공급망)을 갖추지 못해 특정 지역에서 수질사고 등 재난이 발생했을 때 신속한 대응도 어려운 형편이다.

부산시는 상수도시설 공동활용 시스템을 구축하면 지자체의 취·정수장 중복 투자에 따른 비효율성 문제를 해결하고 지방 상수도사업의 누적 적자와 투자 재원 부족에 따른 낡은 시설 개·보수의 어려움도 해결할 수 있으며 재난사고가 발생했을 때 상호 보완 역할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부산시는 1단계로 4개 시와 실무협의를 거쳐 올해 안으로 낙동강 남부권 수도사업자 협의체를 구성할 방침이다.

2단계로 5개 시의 합의로 정부의 권역별 수도정비기본계획에 상수도시설 공동활용 시스템을 반영한 뒤 2023년까지 상호 공급망을 갖추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