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속 운동중추 종양도 큰 장애없이 수술 가능"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5-15 10:41:07
  • -
  • +
  • 인쇄
서울대의대 신경외과, 환자 33명 수술결과
△ 대뇌의 표면을 덮고 있는 대뇌피질은 수많은 신경세포의 집합이다. 인체의 고차원적인 기능이 실질적으로 이뤄지는 중요한 곳이다. 대뇌피질은 호두처럼 주름진 모양이다. 밖으로 돌출된 부위를 ‘이랑(gyrus)’, 이랑 사이 안으로 파여 잘 보이지 않는 부위를 ‘고랑(sulcus)’으로 부른다. 빨간색 부분은 전두엽과 두정엽 경계에 있는 ‘중심앞이랑(precentral gyrus)’이다. 신체의 움직임을 결정하는 운동중추다. 이곳에 문제가 생기면 팔, 다리, 안면에 마비가 오는 등 운동장애가 발생한다.

"뇌속 운동중추 종양도 큰 장애없이 수술 가능"

서울대의대 신경외과, 환자 33명 수술결과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서울대의대 신경외과 정천기(서울대병원)·김영훈(분당서울대병원) 교수팀은 신체의 운동기능을 관장하는 대뇌 전두엽의 운동중추부위(중심앞이랑)에 생긴 종양을 신체마비 등의 큰 합병증 없이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임상결과는 미국서 발행되는 신경외과 분야 국제학술지(Neurosurgery) 최신호에 발표했다.

뇌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대뇌는 수많은 신경세포의 집합인 대뇌피질로 덮여 있다. 대뇌피질은 감각, 운동, 언어 등 고차원적 기능을 결정하는 중추로 부위에 따라 그 기능이 다르다.

대뇌피질 중 전두엽과 두정엽 경계에 위치한 중심앞이랑은 신체의 움직임을 결정한다. 이곳을 전기적으로 자극하면 반대편 신체에서 특정 운동과 관련된 근육이 수축한다.

그러나 중심앞이랑에 종양이 생기면 반대쪽 팔, 다리, 안면에 마비가 오는 등 운동장애가 생긴다. 종양을 없애려면 수술이 필요하지만 수술에 따른 중심앞이랑의 손상이 또 다른 운동장애를 유발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때문에 그동안에는 수술이 거의 불가능했다.

연구팀은 환자를 깨운 상태로 수술하는 '각성시 뇌수술'을 33명에게 시행했다. 이 결과 10명은 수술 후 합병증이 없었으며, 22명은 마비 증세를 보였다.

마비 증세 환자 중 대부분(17명)도 수술 3개월 내에 상태가 호전됐으며 5명만이 지속적인 마비 증세를 보였다. 이 역시 경미한 마비와 감각이상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 수준이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의료진은 "마취로 환자의 통증을 억제한 다음 의식은 깨운 상태에서 팔, 다리 등 신체의 마비 정도를 상시로 체크하면서 종양을 절제했다"면서 "그간 이뤄지지 못했던 수술을 성공적으로 해낸 것은 물론 구체적 수술 부위에 따른 합병증 위험도 최초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