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요원 축소' 부산해수욕장 피서객 안전 확보 비상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5-14 16:27:40
  • -
  • +
  • 인쇄
해경 안전요원 172명→55명으로 줄어…예산 탓에 민간 요원 확보 애로


'안전요원 축소' 부산해수욕장 피서객 안전 확보 비상

해경 안전요원 172명→55명으로 줄어…예산 탓에 민간 요원 확보 애로



(부산=연합뉴스) 신정훈 기자 = 다음 달 1일 해운대, 송도, 송정해수욕장이 개장하면 본격적인 해수욕 시즌이 열리지만 부산지역 해수욕장마다 안전요원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해 비상이 걸렸다.

14일 오후 부산시청에서 열린 '2015년 해수욕장 운영 보고회'에서 공설 해수욕장을 관리하는 해운대구, 수영구, 서구, 사하구 등 기초자치구는 민간 구조요원 확보를 위한 예산 지원을 부산시에 긴급히 요청했다.





지난해 12월 시행된 해수욕장법에 따라 그동안 해경 중심으로 이뤄지던 해수욕장 안전관리가 관리청인 지자체로 넘어왔다.

또 해경의 기구 축소와 인원 감축으로 올해부터 해수욕장에 파견되는 해경 안전요원도 줄어든다.

부산시는 이날 보고회에서 올해 해경이 해수욕장에 파견할 안전요원은 55명으로 지난해 172명과 비교해 대폭 줄었다고 밝혔다.

더욱이 해수욕장에 파견될 해경 안전요원은 올해부터 육상 지원을 하지 않고 바다 안전만 책임진다.

이 때문에 해수욕장을 담당하는 기초지자체마다 부족한 안전요원을 민간 구조대원으로 채워야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자치구마다 재정 상황이 여의치 않아 민간 구조대 확보에 난항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해상 다이빙대가 설치된 송도해수욕장을 담당하는 서구청은 다이빙대에만 주간 5명과 야간 2명의 안전요원을 고정 배치해야 한다며 소방본부 요원이나 해경 지원인력 증원, 민간 구조대 확보를 위한 예산지원을 요청했다.

해운대와 송정해수욕장을 담당하는 해운대구청은 피서객 안전을 확보하려면 해운대와 송정에 적어도 30명과 20명의 민간 구조대원을 각각 추가로 배치해야 한다며 예산지원을 부산시에 요구했다.

한편, 부산시는 보고회에서 올여름 부산지역 7개 공설해수욕장에 해경 지원인력 55명에다 소방본부 인력 174명을 합쳐 모두 229명의 안전요원을 배치한다고 밝혔다.



일단 지난해 24차례의 역파도 발생으로 60여 명이 조난사고를 당한 해운대 해수욕장에 소방 63명과 해경 18명 등 가장 많은 81명을 배치한다.

그리고 광안리에 36명(소방 26명, 해경 10명), 송정 32명(소방 26명, 해경 6명), 송도 27명(소방 21명, 해경 6명), 다대포 17명(소방 12명, 해경 5명), 그리고 일광과 임랑에 각 15명(소방 10명, 해경 5명)씩 분산배치하기로 했다.

문제는 해운대를 제외하면 교대근무조차 불가능할 만큼 배치 인력이 적고, 이에 따른 피로누적으로 제대로 된 감시나 구조활동이 가능할지 우려를 낳고 있다.

지난해 부산지역 해수욕장을 찾은 피서객은 2천844만8천 명이며, 사망사고 없이 각종 사고로 466명이 다쳤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