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한복부터 K팝까지, 韓문화유산 온라인으로 감상"(종합)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5-14 14:22:31
  • -
  • +
  • 인쇄
구글 컬처럴 인스티튜트, 국내 문화유산 총 1만3천여건 소개
박수근 그림 등 기가픽셀 작품 6점도 선보여


구글 "한복부터 K팝까지, 韓문화유산 온라인으로 감상"(종합)

구글 컬처럴 인스티튜트, 국내 문화유산 총 1만3천여건 소개

박수근 그림 등 기가픽셀 작품 6점도 선보여



(서울=연합뉴스) 김희선 기자 = 박수근 작가의 회화부터 한국 전통 복식과 음식, K팝에 이르기까지 총 1만3천500여 점의 국내 문화유산이 구글(www.google.com)의 세계 문화유산 온라인 전시 사이트를 통해 전 세계에 소개된다.

구글은 14일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문화유산 온라인 전시 사이트인 구글 컬처럴 인스티튜트(www.google.com/culturalinstitute)에 추가된 국내 파트너 기관을 소개하고, 국내 최초로 촬영된 기가픽셀 작품도 선보였다.

2011년 만들어진 구글 컬처럴 인스티튜트는 구글이 세계 각국의 문화시설과 협력해 다양한 문화유산을 누구나 무료로 온라인으로 편리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한 사이트로, 현재 60개국, 700개 이상의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한국사립미술관협회,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제주박물관, 한국영상자료원, 해녀박물관 등 10곳이 파트너로 참여했는데, 이번에 국내 참여 기관이 20곳으로 대폭 늘어났다.

추가된 국내 파트너는 국립현대미술관, 근현대디자인박물관,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한국학중앙연구원, 재단법인 아름지기, 음식디미방,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호림박물관, 한국음반산업협회 등이다.

이로써 국내 문화유산의 고해상도 이미지 1천500여건, 온라인 전시 33건, 박물관 보기 6건이 컬처럴 인스티튜트에 추가돼 총 1만3천500여 건의 한국 작품이 온라인을 통해 전 세계에 소개된다.

석주선기념박물관이 조선 마지막 공주인 덕온공주의 원삼(圓衫)을 포함한 다채로운 전통 복식을 전시하는가 하면, 음식디미방이 한국의 전통 음식을 보여주고, 한국음반산업협회가 K팝의 변화와 성장 과정을 연도별로 보여주는 등 소개되는 콘텐츠의 장르가 다양해졌다.

특히 전시작 중 6점은 국내 최초로 구글의 아트카메라를 이용해 촬영된 기가픽셀 이미지로 제공된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기가픽셀 이미지는 한 이미지당 약 70억 픽셀(화소)로 이뤄져 육안으로는 볼 수 없는 유화의 갈라짐이나 붓 터치, 직물의 섬세한 조직까지도 관찰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특징이다.

기가픽셀 이미지로 볼 수 있는 작품은 박수근의 '할아버지와 손자', 이우환의 '선으로부터', 강익중의 '포타슘 펜슬', '이충원호성공신화상', '탐라순력도, '덕온 공주의 원삼' 등이다.

'박물관 보기'는 구글의 스트리트 뷰 기술을 이용해 박물관 내부를 촬영, 실제 박물관을 방문해 둘러보는 듯한 가상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전문 큐레이터의 설명도 들을 수 있다.

한편, 구글은 국내 파트너 기관을 대상으로 손쉽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제작해 작품을 전시할 수 있도록 돕는 '모바일 앱 제작 플랫폼'도 지원한다.

경기도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한국음반산업협회 등이 아시아 최초로 이 플랫폼을 통해 앱을 제작해 구글플레이를 통해 전 세계 190개국 사용자들에게 제공한다.

구글은 또 국내 파트너들이 컬처럴 인스티튜트 내에 올려진 해당 기관의 콘텐츠를 해당 기관의 홈페이지에 삽입할 수 있도록 했다.

구글 컬처럴 인스티튜트 아밋 수드 총괄은 "구글 컬처럴 인스티튜트의 임무는 세계 문화유산을 전 세계 사람들이 볼 수 있게 돕고, 다음 세대를 위해 디지털로 보존하는 것"이라며 "구글이 제공하는 기술을 통해 전 세계인이 한국 문화의 다양한 측면을 폭넓게 감상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국립현대미술관의 김정배 기획운영단장(관장 직무대리)은 "인터넷과 기술을 잘 활용하는 것은 문화예술기관에도 매우 중요한 과제"라며 "우리나라의 귀중한 문화유산과 미술작품들이 공간을 초월해 전 세계 문화예술 애호가들의 사랑을 받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