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인 맞춤형 유전체칩으로 만성질환 밝힌다
(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 = 보건복지부는 한국인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유전체칩인 '한국인칩'을 생산한다고 13일 밝혔다.
유전체칩은 질환을 분석할 수 있도록 수십만개 이상의 유전변이 정보를 확인하는데 쓰이는 칩이다.
한국인칩은 다인종을 기준으로 제작된 기존 유전체칩과 달리 한국인의 특이적 유전체 정보를 반영해 제작됐다.
한국인에게서 나타나는 유전변이 중 단백질 기능에 영향을 주는 유전변이 20만개와 한국인 유전체를 대표하는 유전변이 60만개를 확인할 수 있다.
복지부는 한국인칩이 한국인에게 흔히 발생하는 당뇨, 고혈압, 비만, 고지혈증 등 만성질환의 유전적 요인 규명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한국인칩은 기존 유전체칩에 비해 3~4배 저렴해 상대적으로 적은 예산으로도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복지부는 한국인칩을 활용해 한국인 인구집단 시료 10만명 분의 유전체 정보를 생산해 국내 연구자들이 질병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할 계획이다.
복지부는 "그동안은 연구자들이 각자의 유전체칩을 활용해 개별적인 연구를 진행해 대규모 만성질환을 연구하는데 한계가 있었다"며 "한국인칩의 개발로 대규모 인구집단의 유전체정보를 생산해 국가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