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극복하려면"…진천 산업현장 토크서 제안 '봇물'
결혼장려금·공교육 정상화 등 제안…"당국 실천 의지가 중요"
(청주=연합뉴스) 심규석 기자 = "출산장려금 대신 결혼장려금을 지급하는 게 어떨까요", "사교육비 부담도 저출산의 큰 원인입니다. 공교육 강화가 필수입니다"
12일 충북 진천의 한 기업체에서 열린 '저출산 극복을 위한 산업현장 토크'에서 출산율을 끌어올릴 수 있는 방법을 놓고 일선 현장 근로자와 경영자, 관련 기관 종사자들이 다양한 주장을 쏟아냈다.
이날 토크는 보건복지부와 고용노동부가 산업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청취해 저출산 대책을 모색해 보자는 취지에서 후원했다.
행사에는 이시종 충북지사와 진천 지역의 기업체 임직원 등 15명이 참석했다.
청호나이스 사원 김진영(31·여)씨는 "저출산의 가장 큰 원인은 만혼"이라며 "출산장려금에 앞서 결혼장려금이 더 절실하다"고 말했다.
자녀를 낳았을 때 장려금을 주는 것보다 지방자치단체가 나서서 결혼을 권장하는 분위기를 조성해달라는 얘기다.
김씨는 출산 후 직면하는 또 다른 문제로 육아를 꼽은 뒤 "시간제 근무, 자율 출·퇴근제를 확대 운영하고 남성의 육아휴직을 권장한다면 저출산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겠느냐"고 육아 지원 대책 확대를 요구했다.
우영메디칼 이영규(55) 대표는 "출산을 꺼리는 가장 큰 원인은 사교육비 부담"이라며 "사교육을 공교육에 흡수시킬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육아 휴직이 끝난 후 복직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이 출산 기피로 이어진다는 지적도 나왔다.
충북 여성새일본부 진천센터 김민조(36·여) 실장은 "여성이나 남성 모두 복직할 때 직장에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안정적인 복직과 복직 이후 직장에서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김 실장은 또 "맞벌이 부부의 경우 야간에 자녀를 어린이집에 맡기는 일도 있다"며 "맞벌이 부부에 대해서는 보육비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제안했다.
참석자들은 "오늘 토크서 거론된 제안들은 새삼스러운 것이 아니다"며 "정부나 지자체가 실천할 의지가 있느냐가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삼식(58) 보건사회연구원 인구정책연구실장은 "출산을 기피하는 대표적 원인 가운데 하나가 사교육비 부담"이라며 "정부도 사교육비 부담을 줄이는 방향으로 교육개혁을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답했다.
토크를 주재한 이 지사는 "일하는 여성을 위한 복지 정책, 아이를 양육하는 여성들을 돕는 폭넓은 지원정책이 병행돼야 저출산 문제가 풀릴 것"이라며 "오늘 나온 제안들을 도정에 적극 반영되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