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에 항거해 순국한 젊은 외교관 이한응 조명
독립기념관, 이한응 열사 순국 110주년 국제학술회의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1905년 5월 영국 런던에서 대한제국의 젊은 외교관이 스스로 목을 매 목숨을 끊는다.
당시 31살이었던 이 외교관은 풍전등화 앞에 놓인 조국을 구하고자 영국정부를 상대로 치열한 외교활동을 벌였지만 모든 것이 수포가 되자 죽음으로서 마지막 항거했던 이한응 열사다.
이한응 열사는 일제에 항거해 목숨을 끊은 첫 순국선열로 평가된다.
이한응 열사가 순국한 해 대한제국은 일제에 의해 강제로 을사조약을 맺게 된다.
이한응 열사 순국 110주년을 맞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독립기념관·주영국대한민국대사관 주최 국제학술대회가 열렸다.
'최초의 '을사' 순국열사 외교관 이한응 연구'를 주제로 발표한 구대열 이화여대 명예교수에 따르면 1904년 2월 러일전쟁이 일어나자 이한응 열사는 서울의 관리들과 달리 한국의 장래가 위험하다는 것을 파악한다.
국제정치의 중심 무대 중 하나였던 런던에서 제국주의 열강들이 외교관계를 관찰하면서 한반도를 둘러싼 정세에 상당한 지식을 쌓았음을 보여준다.
그는 조국이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세력의 지배 아래 놓일 것을 예견하고 이를 막기 위해 '한반도 중립화 방안'을 제시한다.
구 명예교수는 이한응 열사의 외교술에 대해 "당시 동아시아의 세력균형을 범세계적인 차원의 세력균형과 연결해 한반도 평화를 유지해보려는 탁월한 발상"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열강의 외면 속에서 이한응 열사의 계획은 실패했고 그는 1905년 5월 홀로 남은 공관 내 자신의 침실에서 목을 맨다.
그가 남긴 유서를 보면 나라를 잃는 침통한 마음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오호라 나라의 주권 없어지고 사람의 평등을 잃으니 무릇 모든 교섭에 치욕이 망극할 따름이다. 진실로 핏기를 가진 사람이라면 어찌 견디어 참으리오. 슬프다 종사가 장차 무너질 것이오, 온 겨레가 모두 남의 종이 되리로다. 구차히 산다 한들 욕됨만이 더할 따름이라. 이 어찌 죽어짐보다 나으리요. 뜻을 매듭지은 이 자리에서 다시 이를 말 없노라."
주영한국문화원 폴 웨이디 연구원은 '이한응-어느 외교관의 죽음' 발표에서 당시 대한제국의 외교관을 지원했던 롤랜드 본 윌리엄스 경과 그의 가족이 이한응 열사와 주고받은 편지를 소개했다.
이한응 열사는 본 윌리엄스 부인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친애하는 나의 어머니께', '당신의 착한 한국인 아들 드림'이라는 표현을 써 서로 친분이 돈독했음을 보여준다.
또 본 윌리엄스 가족은 1905년 4월 좌절한 이한응을 위로하기 위해 브라이턴과 도킹으로 함께 여행을 가기도 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웨이디 연구원은 "한국인 외교관들의 편지를 읽다 보면 한국인의 정신, 기품, 명예가 빛을 발한다는 것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며 "본 윌리엄스가가 한국 외교관을 지원했던 것은 분명히 그들도 이것을 보았기 때문일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