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답변하는 윤병세 장관 (서울=연합뉴스) 진성철 기자 =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4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zjin@yna.co.kr |
정부 "강제징용 사실 외면·미화, 日 세계유산등재 반대"
(서울=연합뉴스) 이귀원 기자 = 정부는 4일 일본이 강제징용의 한이 서린 근대산업시설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우리 정부의 기본입장은 강제노동이 자행됐다는 역사적 사실을 외면한 채 산업혁명 시설로만 미화시켜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는 데 반대한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현안보고를 통해 "이는 인류보편적 가치를 지닌 유산을 보호하는 세계유산협약의 기본정신에 위배되는 것"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정부는 앞으로 21개 세계유산 위원국들에 대해 우리 입장을 전방위적으로 강하게 설득해 나가는 한편 모든 가능한 방안을 검토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윤 장관은 다만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산하 민간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가 "조만간 등재신청한 해당국에 개별통보를 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일본측의 등재 요청에 대한 ICOMOS의 1차 판단이 임박했음을 시사했다.
윤 장관은 "ICOMOS는 기술적 측면에 대한 평가를 책임지고 있으며, 그런 점에서 (일본이 요청한) 23개 시설에 대한 등재에 긍정적 권고를 할 것으로 관측된다"고 전망했다.
ICOMOS의 권고는 5월 중순께 공식 발표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기술적 권고이며, 최종 결정은 6월 말부터 독일에서 개최되는 제39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내려질 예정이다.
외교부는 "정부는 일본의 움직임이 본격화된 2012년부터 다양한 채널과 여러 수준에서 등재 추진 재고를 강하게 촉구했고, ICOMOS와 유네스코에 대해 우리 입장 전달, 주요 인사 면담 등의 노력을 전개했다"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는 2014년 1월 총 23개 시설을 산업유산으로 등재 신청을 했고, 이 가운데 과거 5만7천900명의 우리 국민이 강제징용된 7개 시설이 포함돼 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