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재난발생 실시간 알림 서비스 개발 추진
휴대전화와 내비게이션으로 사고지점·대피경로 전송
(수원=연합뉴스) 김인유 기자 = '화재는 2층 203호에서 발생했으며, 3층으로 연소확대 중이므로 건물에 계신 주민들은 신속하게 대피하시기 바랍니다'(휴대전화 알림메시지)
'폭우로 재난안전정보가 감지됐습니다. 재난지역을 회피해 운전경로를 변경합니다'(내비게이션)
경기도는 재난발생 신고 접수 즉시 인근에 있는 사람들에게 재난내용과 대피요령을 알려주는 첨단 알림서비스 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30일 밝혔다.
'안전대동여지도'로 명명된 이 시스템은 119신고, IoT(사물인터넷),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을 통해 재난이 감지되면 재난현장 주변 사람들의 휴대전화와 내비게이션으로 정보를 전송한다.
119의 긴급구조시스템과 연계해 현장 영상, 사고수습 현황 같은 정보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도는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을 활용, 재난을 사전에 감지해 예측하는 서비스도 추진하기로 했다.
도 관계자는 "CCTV를 통해 다리의 변형을 감시하거나, 후각센서로 유해화학물질 배출여부를 미리 감지하는 첨단기술이 많이 개발돼 있다"면서 "이런 센서들을 도내 주요 거점에 설치해 재난발생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도는 안전대동여지도 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용역을 올 상반기에 실시하고 나서 내년부터 본격적인 시스템 개발에 들어갈 계획이다.
도는 예산절감을 위해 별도의 지도를 만들지 않고 네이버, 다음, 구글 등 민간 포털의 지도와 내비게이션을 통해 알림서비스를 실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