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련업계 "지원 없이 규제만 대폭 강화" 볼멘소리
![]() |
△ 세월호 1주기 앞두고 비 내리는 광화문광장 (서울=연합뉴스) 신준희 기자 = 세월호 참사 1주기를 이틀 앞둔 14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에 설치된 희생자 추모 공간 앞으로 한 시민이 걸어가고 있다. 2015.4.14 hama@yna.co.kr |
<세월호 악몽서 벗어나는 수련시설…운영난은 '여전'>
충북 수련업계 이용률 예년 70% 수준 회복…"숨통 트여"
수련업계 "지원 없이 규제만 대폭 강화" 볼멘소리
(청주=연합뉴스) 황정현 기자 = 지난해 세월호 참사 이후 일선학교의 수학여행과 체험학습이 잇따라 중단되면서 줄도산 위기에 처했던 수련시설들이 점차 회복 기미를 보이고 있다.
세월호 참사 발생 1년이 지나면서 뚝 끊겼던 청소년 단체예약이 조금씩 늘어 최악의 국면은 지났다는 것이 관련 업계의 분석이다.
그러나 세월호 참사 이호 각종 규제가 대폭 강화되면서 운영난은 여전하다고 볼멘소리를 하고 있다.
30일 충청북도청소년종합진흥원 청소년활동진흥센터에 따르면 일선학교 체험·연수가 몰리는 봄철을 맞아 도내 공공·민간시설 수련원 예약률이 평균 60∼70%대를 기록하고 있다.
한꺼번에 학생 1천명가량을 수용할 수 있는 충북 보은군 S수련원은 요즘 예약률이 70%에 달한다.
이런 예약률은 가을철과 함께 연중 최대 성수기라는 점을 고려할 때 썩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
2년 전인 2013년 거의 100%에 가까운 예약률을 보였던 것과 비교해도 그렇다.
당시는 수련 시즌인 4∼7월에는 일주일에 평균 6개교, 2천명의 학생들을 수용했다.
사정이 나아졌다고는 하지만 업황이 완전히 회복된 건 아니라는 얘기다.
그래도 수련원 관계자들은 "고비를 넘기면서 숨통은 트였다"고 입을 모았다.
지난해 세월호 참사 이후 예약이 대부분 취소되고, 발길이 뚝 끊기면서 극심한 재정난에 몰려 도산을 걱정해야 했던 악몽과는 비교할 바가 아니기 때문이다.
충북 제천의 P수련원은 더욱 혹독한 '고난의 세월'을 겪어야 했다.
세월호 참사 이후 이용객이 거의 없다시피하면서 재정 위기에 봉착한 이 수련원은 45명의 직원을 권고사직시켜야 했다.
다행히 2년전 성수기의 50% 수준까지 이용객이 회복되면서 퇴사했던 직원 20명 이상이 복직했다.
작년에 비해 사정이 나아지긴 했지만 수련업계 관계자들은 여전히 울상이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규제가 강화되면서 이용객 유치가 훨씬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충북도교육청은 수학여행과 관련, 참가 학생 100∼150명 미만이면 학부모 70%의 동의를, 150명 이상이면 학부모의 80% 동의를 받도록 했다.
또 150명 이상이 참가할 때 학생 50명당 1명의 안전요원을 배치하도록 규정했다.
수학여행과 달리 수련활동은 각 학교 차원에서 '활성화위원회'를 열어 지침을 정하는데, 대부분 도 교육청의 권장사항에 따르고 있다.
진천군의 한 수련원 관계자는 "학교에서 연초에 일정을 잡아놨다가 학부모 동의율이 기준에 못미쳐 취소하는 사례가 올들어 4건이나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학교 측도 수련활동을 하려면 사전답사를 하고, 사후 보고서도 작성해야 하느라 신경쓸 일이 많으니까 아예 포기하는 경우도 많다"고 설명했다.
보은군 수련원 관계자는 "정부와 충북도, 보은군 등 여러기관에서 수시로 점검을 나온다"며 "시설 보완이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요구는 많은데 지원은 전혀 없으니 죽을 맛"이라고 푸념했다.
이 때문에 수익성과 공공성 사이에서 딜레마에 빠진 수련시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책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충청북도청소년종합진흥원 청소년활동진흥센터 관계자는 "청소년 수련활동 공간이라는 점에서 공공이든 민간이든 수련시설은 공공재적 성격이 강하다"며 "수익성만 노려 운영하게 되면 학생 수련활동 프로그램의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공공시설뿐 아니라 당국이 정해놓은 일정 기준을 충족시키는 민간시설에는 보조금을 지원, 자립도를 높여줄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충북에는 공공시설 수련원 23곳, 민간시설 22곳 등 총 45곳의 수련시설이 운영되고 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