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경남기업 특혜' 금감원-채권단 통화내역 추적(종합)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4-29 21:46:56
  • -
  • +
  • 인쇄
성완종 다이어리·의원실 방문기록 분석…구명 로비 여부 집중수사


검찰 '경남기업 특혜' 금감원-채권단 통화내역 추적(종합)

성완종 다이어리·의원실 방문기록 분석…구명 로비 여부 집중수사



(서울=연합뉴스) 김계연 기자 = 경남기업 워크아웃 당시 금융감독 당국이 채권단에 압력을 넣었다는 의혹에 대해 검찰이 본격 수사에 착수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임관혁 부장검사)는 김진수 당시 기업금융구조개선국장 등 금융감독원 고위 간부들과 채권금융기관협의회에 속한 금융권 인사들의 휴대전화와 이메일 송수신 내역을 확보해 분석 중인 것으로 29일 알려졌다.

검찰은 금융위원회와 경남기업 실무 직원들을 참고인으로 소환해 경남기업 대주주였던 성 전 회장 지분의 무상감자 없이 출자 전환이 이뤄지는 과정과 채권단 내부 의사결정 구조에 문제가 없었는지 확인하고 있다.

검찰은 성 전 회장이 '구명로비'를 벌였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감사원 감사자료와 채권단의 관련 자료는 물론 성 전 회장의 생전 대외활동을 기록한 다이어리를 '성완종 리스트' 특별수사팀으로부터 넘겨받아 분석 중이다.

이 다이어리에는 경남기업이 워크아웃을 신청하기 직전인 2013년 9월3일 김진수 당시 금감원 국장과 이필성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 12일과 13일에는 각각 채권은행장인 임종룡 당시 NH농협금융지주 회장과 김용환 당시 수출입은행장을 만나는 일정이 기재돼 있다.

검찰은 아울러 국회 사무처로부터 제출받은 의원실 출입기록을 통해 그해 9∼10월 김진수 국장 등이 성완종 의원실을 집중적으로 방문한 사실을 확인하고 그 배경을 살펴보고 있다.

성 전 회장은 당시 금융·공정거래 등을 전담하는 정무위원회 소속 국회의원 신분이었다. 경남기업은 같은 해 10월29일 3차 워크아웃을 신청해 이튿날 채권단으로부터 긴급자금 지원 결정을 받았다.

당시 금감원 담당 국장과 팀장이 금융기관 담당자에게 "대승적 차원에서 동의하라"고 외압을 행사했고, 성 전 회장은 무상감자 없는 출자 전환으로 158억원의 이득을 챙긴 사실이 감사원 감사에서 드러났다.

이에 따라 검찰은 채권단에 압력을 넣어주는 대가로 성 전 회장과 금융감독 당국 간부들 사이에 뒷거래가 있었는지 확인하는 데 수사력을 집중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