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권력무상, 中 '사법·공안 차르'도… (AP=연합뉴스) 중국 검찰이 부패 혐의로 송치된 저우융캉(周永康) 전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을 3일 정식 기소했다. 중국 톈진(天津)시 인민검찰원은 이날 톈진시 제1중급인민법원에 저우융캉에 대한 공소장을 제출했다. 검찰은 저우의 범죄 혐의로 뇌물수수, 직권남용, 국가기밀 고의 누설 등 3가지를 제시했다. 저우융캉은 후진타오(胡錦濤) 체제에서 최고지도부 일원인 정치국 상무위원과 공안·사법·정보 분야를 총괄하는 당 중앙정법위 서기를 지낸 인물. 사진은 그(오른쪽)가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당 중앙정법위 서기이던 지난 2012년 3월9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의 전국인민대표대회 전체회의에서 당시 중앙정법위 부서기 왕러취안의 얘기를 듣고 있는 모습. bulls@yna.co.kr |
중국 당국, 국외 도피범 100명 공개 수배(종합)
(홍콩=연합뉴스) 최현석 특파원 = 중국 반(反)부패 당국이 국외로 도피한 부패사범 100명의 명단을 공개하고서 본격적인 검거에 나섰다.
중국공산당 중앙기율검사위원회(기율위)는 22일(현지시간) 국외 부패사범 검거와 장물 회수를 위한 '천망행동'(天網行動)의 하나로 국외 도피범 100명의 명단과 신상명세를 공개했다고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人民日報)와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이 23일 보도했다.
당국이 공개한 목록에는 도피범의 사진과 성별, 이전 직업, 신분증 번호, 여권 명세, 혐의, 도피 일자, 도피 국가 등 방대한 정보가 포함됐다.
명단이 공개된 도피범 100명 중 절반가량이 정부부처나 기업의 수장으로 파악됐다고 언론이 전했다. 경찰관, 회계사, 기업 재무담당자, 은행원 등도 있었다.
대부분 부유한 연해 지역의 광둥(廣東), 저장(浙江), 장쑤(江蘇)성 출신이었으며, 상당수가 복수의 중국 신분증과 여권을 보유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이 도피지역으로 선택한 국가는 미국이 40명으로 가장 많았고 캐나다 26명, 홍콩 5명 순이었다. 일부는 뉴질랜드와 호주, 태국, 싱가포르 등으로 도피했다.
도피 시기는 1996년부터 작년까지로 다양했지만, 대부분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집권하기 직전인 2011∼2013년과 후진타오(胡錦濤) 전 주석 체제 출범 전인 2001∼2002년 도피한 것으로 집계됐다.
도피범의 주요 혐의는 뇌물 수수와 부패, 횡령 등이었다.
성별로는 남성이 77명으로 여성 23명보다 많았지만, 제1호 수배자는 여성인 양슈주(楊秀珠) 전 저장(浙江)성 원저우(溫州) 시장이 차지했다. 양 전 시장은 미국 영주권을 다른 이름으로 취득한 뒤 공금을 횡령한 채 2003년 미국으로 도피했으며, 비리 금액은 총 2억5천만여 위안(약 437억 원)으로 추산된다.
국제형사경찰기구인 인터폴 중국 중앙사무국은 이들에 대해 적색수배령을 내렸다.
그러나 국제법 전문가들은 중국과 도피범이 숨은 국가 간 범죄인 인도 협정이 체결되지 않아 도피범 검거를 위한 법적 절차가 복잡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마이클 데이비스 홍콩대 국제법 전문가는 SCMP에 "도피범 명단 공개는 신속한 송환보다는 (도피 시도에 대한 경고성) 선전 메시지 전달이 목적"이라며 "중국과 범죄인 인도조약을 체결한 국가로 도피한 부패사범의 송환조차 중국의 사형제도에 대한 주변국의 우려 등으로 지연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제임스 토(塗謹申) 홍콩 입법회(국회격) 의원은 "(중국령인) 홍콩 정부조차 명단에 있는 도피범을 검거할 법적 근거가 없다"며 "중국과 범죄인 인도조약이 체결돼 있지 않은 홍콩의 영주권자는 중국에 송환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