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공사·철도시설공단 다툼에 주민들만 "속 터져"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4-23 08:30:00
  • -
  • +
  • 인쇄

수자원공사·철도시설공단 다툼에 주민들만 "속 터져"



(부산=연합뉴스) 차근호 기자 = "한국수자원공사와 철도시설공단이 보상 주체를 놓고 갈등을 벌이는 통에 주민들 속이 타들어갑니다."

부산시 강서구 강동동 주민대책위원장 반재화(58) 씨는 최근 주민들의 답답함이 이만저만이 아니라고 23일 말했다.

낙동강과 인접한 이곳 일대에는 지난 2012년부터 한국수자원공사가 추진하는 '에코델타시티' 조성사업이 한창 진행 중이다.

게다가 지난해에는 이곳이 부전∼마산 복선전철 사업구간에 포함돼 철도시설공단에서도 사업을 하고 있다.

반씨는 두 사업이 겹치는 바람에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두 사업의 경계지점에 있는 강동동 16∼17통에 대한 보상을 양쪽 기관에서 서로 떠넘기는 바람에 주민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는 것이다.

이곳에는 16가구의 주민이 살고 있다.

반씨는 "경계지역에 대해 보상 책임을 지겠다는 기관이 없으니 이곳 주민의 보상은 갈수록 늦어지고 있다"면서 "다른 곳은 벌써 농지 보상이 70% 완료됐고 택지·지장물 보상을 위한 조사도 시작된 상태이라 더 늦기 전에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수자원공사와 철도시설공단도 이런 문제를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환경영향평가 때 두 사업 경계지에 조성하도록 한 '완충 녹지 40m'의 사업주체가 분명히 정해지기 전에는 보상해 주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완충녹지는 철도나 고속도로 등의 시설에서 발생하는 매연·소음·진동 피해를 줄이려고 조성하는 녹지를 말한다.

문제는 환경영향평가서가 녹지 조성의 책임자를 양쪽 기관 협의로 정하도록 했는데 두 기관의 견해차가 너무 크다는 점이다.

철도시설공단은 철로와 가까이 있는 폭 10m의 녹지(시설녹지) 부분만 책임을 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해 한국수자원공사 측은 기존 에코델타시티 부지에 뒤늦게 철도 사업이 시작되면서 완충녹지를 만들어야 하는 만큼 철도 공단이 모두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두 기관의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고 주민 민원이 잇따르자 지역구 의원인 김도읍 국회의원이 조정에 나섰지만 아직 이렇다 할 결과가 나오지 않고 있다.

부산시의 한 관계자는 "두 기관에서 견해차를 좁히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안다"면서 "의원실에서도 노력하고 있는 만큼 조만간 결론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