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 실험·실습실 안전 개선에 1천600억 지원
실험실 안전사고 작년 145건…2010년이래 7명 사망
(세종=연합뉴스) 박창욱 기자 = 정부가 국립대학 연구실과 실습실의 안전 환경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선다.
교육부는 학생과 교수가 안전하게 교육·연구할 수 있도록 국립대학 실험·실습실 안전환경 기반조성 사업을 올해 처음으로 추진한다며 이를 위해 1천606억원을 지원한다고 23일 밝혔다.
대학 실험실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 실험내용이 복잡해지고 다양해짐에 따라 안전사고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 자료에 따르면 연구실 사고 건수는 2007년 이후 증가세를 보이다가 2011년 150건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후 2012년 102건, 2013년 94건으로 줄었으나 다시 지난해 145건으로 크게 늘었다.
지난 5년간 기관별 연구실 사고현황을 보면 국립대학은 246건, 공·사립대학은 363건으로 연구기관(51건)에 비해 훨씬 많았다.
지난 2010년 이후 연구실에서 가스폭발, 화학물질 누출, 조작 미숙 등으로 7명이 사망하는 중대사고가 발생했다.
이번 교육부의 지원 사업은 41개 국립대(국립법인대 2개교 포함) 내 이공계의 실험실과 예체능계의 미술실, 체육실 등 실습실을 포함해 대학 내 모든 공간을 대상으로 한다.
특히, 사고발생 시 인체에 치명적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유해물질이나 가연성·독성 가스 사고를 근절하기 위해 안전장비 확충에 우선으로 883억원이 투입된다.
안전장비 설치에 필요한 연결기구 및 전기설비 증설, 실험실 내 환기 시스템 개선 및 소방설비 확충 등을 위한 환경개선에도 518억원이 지원된다.
아울러 안전문화 확산을 위해 화학물질의 반입부터 반출까지 전 과정을 통합관리 하는 선도모델을 구축, 인근대학에 개방하는 시범사업에 74억원이 제공된다.
교육부는 대학 실험실을 직접 활용하는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안전 환경 전문가 협의를 거쳐 '실험실 안전환경 구축 가이드'를 마련했다.
가이드는 실험과 연구 공간을 분리하고 실험대 간격은 비상 탈출로 확보를 위해 최소 0.9m를 유지하도록 하며, 유해 화확물질 사용 실험실에는 공기중 노출을 예방할 수 있는 후드 등 안전장비를 확충하도록 권고한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