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사설 "아베, 일제 전쟁범죄 정직하게 마주해야"
식민지 강점·잔혹행위·군위안부 강제동원 사과 촉구
(뉴욕=연합뉴스) 김화영 특파원 =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미국 방문과 상·하원 합동연설을 앞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에게 2차 대전 당시 일본의 전쟁 범죄를 솔직하게 인정할 것을 촉구했다.
NYT는 20일(현지시간) '아베 총리와 일본의 역사'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오는 26일부터 시작되는 아베 총리의 방미는 일본이 패전 70년을 맞아 전후 재건과 미국과의 확고한 동맹 관계를 축하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NYT는 "방미의 성공 여부는 아베 총리가 얼마나 정직하게 일본의 전쟁 역사를 마주할 것인 지에도 달려 있다"면서 "전쟁을 일으켰던 결정, 중국과 한국에 대한 강점, 잔혹행위, 그리고 수 천 명의 여성에게 성노예나 군대 위안부를 강압함으로써 이들을 노예화시킨 행위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고 말했다.
NYT는 "지금 쯤이면 정리돼 있어야 할 역사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것은 아베 총리와 일본의 우익 진영이 끊임없이 역사에 문제를 제기하고, 심지어는 역사를 다시 쓰려 하면서 지역적 긴장을 조장하려는 데서 주로 기인한다"고 비판했다.
특히 "아베 총리가 공개적으로는 전쟁에 대해 반성(remorse)을 표하고, 성노예 문제를 포함해 일본의 침략행위에 대한 과거의 사과를 존중하겠다고 말하고 있지만, 자신의 발언에 '모호한 수식어(vague qualifiers)'를 덧붙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는 그가 사과 문제를 진지하게 여기지 않고 있으며, 나아가 이를 희석하려 하고 있다는 의심을 사게 한다"고 말했다.
또 "일본 정부는 이 같은 역사를 지우려 함으로써 문제를 더욱 악화시켜왔다"며 최근 검정을 통과한 일본의 새 중학교 역사교과서 중 일부가 임나일본부(任那日本府)설을 기술한 점을 적시했다.
NYT는 일본이 21세기에 국제사회에서 지도적 역할을 하기를 아베 총리가 희망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일본은 자국의 과거에 대한 비판을 계속 거부하려 한다면 더 큰 역할을 신뢰감 있게 충족시킬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앞서,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는 전날 미국의 동아시아문제 칼럼니스트인 에몬 핑글톤의 칼럼을 통해 존 베이너 미국 하원의장이 아베 총리의 미 의회 연설을 허용한 것은 돈 때문이라고 비판하면서, "지금 미국 의회는 그 어느 때보다도 돈에 의해 운영되고 있으며 일본 만큼 워싱턴에 돈다발을 뿌릴 수 있는 나라는 없다"고 주장한 바 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