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주차장 공유' 서울시, 공유기업 300개 육성
찾아가는 공유학교·공유 전문가 학교도 시범 운영
(서울=연합뉴스) 황희경 기자 = 서울시는 그동안 추진해 온 공유활동을 다양한 분야로 확산하기 위한 '공유서울' 2기 정책을 20일 발표했다.
공유서울 정책은 공유를 통해 교통과 환경·주거 등 다양한 도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시는 2012년 공유도시를 선언한 이래 일부 공유기업의 매출액이 2년 만에 9배로 늘어나는 등 공유 활동이 탄력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카셰어링(차량 공유·나눔카) 회사인 그린카와 쏘카 등은 2013년 사업을 시작한 이래 회원 수가 40만 명을 넘었고, 낮에 비는 거주자 우선 주차장을 공유하는 사업을 하는 모두컴퍼니는 7개 자치구에서 주차장 2천여면을 공유했다.
시는 이런 공유사업을 통해 약 4천840억원의 경제적 효과를 본 것으로 분석하고 2기 정책을 통해 공유를 다양한 분야로 확산하기로 했다.
일부 자치구에서 시행 중인 거주자우선주차장 공유사업과 노인과 대학생이 주거공간을 공유하는 한지붕세대공감, 아이옷 공유사업을 점진적으로 전 자치구로 확대한다.
또 공영주차장에서 이용할 수 있던 나눔카 서비스는 아파트 단지에 전용 주차면을 시범 할당해 주택가에서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공유기업 지원도 강화한다. 그동안 지정했던 공유단체·기업 중 5곳 이상을 서울시를 대표하는 스타 기업으로 맞춤 지원하는 한편 현재 57개인 공유기업은 2018년까지 300개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다.
'공유제도개선 기획단'을 통해 공유기업의 성장을 막는 법과 제도 개선에도 나선다.
어릴 때부터 공유를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학생들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공유학교'를 시범 운영하고 공유 아이디어가 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공유 전문가 학교'도 운영한다.
우수한 공유 사례는 브랜드로 만들어 다른 지방자치단체와 외국에도 전파하고 '전국 공유도시 협의회'와 '세계 공유도시 협의체'(이상 가칭) 등 관련 기구도 만들 계획이다.
시는 이런 '공유서울' 2기 정책을 통해 연간 생활비 120억원 절감, 예산 1조 1천800억원 절감, 일자리 1천280개 증가, 이산화탄소 2만 9천800t 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