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본사·대구경북본부, 운영권 갈등에 지역사회 '혼란'
운영권 놓고 법정 다툼…학계 "독립채산제 방식의 구조적 문제" 지적도
(서울·대구=연합뉴스) 정성호 김선형 기자 = 뉴시스의 본사와 ㈜뉴시스대구경북본부가 지역본부 운영권 문제를 놓고 법적 분쟁에 들어가는 등 내홍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대구·경북지역 관공서나 기업체 등은 두 조직으로부터 보도자료를 요구받거나 취재 요청을 받는 등 혼란을 겪고 있다.
학계 일각에서는 사영(私營) 통신사의 본사와 지역본부간 갈등에 대해 독립채산제로 운영되는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됐다고 지적하고 있다.
◇ 지역본부 운영권 놓고 송사…지역뉴스 2중 서비스
15일 한국기자협회보와 미디어오늘 보도 등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은 지난 2일 ㈜뉴시스대구경북본부가 낸 업무방해 금지 가처분신청 일부를 받아들여 뉴시스 본사에 대해 업무를 방해하지 말라고 결정했다.
앞서 뉴시스 본사는 지난 2월 뉴시스대구경북본부에 대해 "통신사로서 신뢰성과 공신력을 훼손했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운영계약 해지를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뉴시스 본사는 대구경북본부 기자들이 사용하던 기사작성시스템인 CMS와 메일을 폐쇄해 로그인을 할 수 없게 하고, 본부에서 별도의 대구·경북 지역 취재인력을 현지에 파견했다.
뉴시스 본사와 지역본부는 회계가 분리된 별도의 법인으로, 그동안 계약을 통해 기사를 공유해 온 것으로 전해졌다. 본사는 보증금과 월 수수료를 받고 제호 사용을 허용하고, 지역본부는 뉴스 공급이나 광고 등 사업을 통해 얻은 수입으로 운영한다.
뉴시스 본사의 이런 결정에 대해 뉴시스대구경북본부는 "본사가 일방적으로 계약을 해지하고 기사제작시스템 접속을 차단해 정당한 업무를 방해했다"며 업무방해 금지 가처분 신청을 서울중앙지법에 냈다.
뉴시스 본사 측은 서울중앙지법의 결정에 대해 앞으로 이의 제기, 즉시항고 등 적법한 구제 절차를 밟아나가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뉴시스대구경북본부 관계자는 "본사는 인사의 문제나 가족경영 문제 등을 걸고넘어지는데, 이는 계약 외적인 사안"이라며 "법적인 분쟁을 하더라도 기자들이 일은 하도록 해줬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뉴시스 본사와 뉴시스대구경북본부가 갈등을 겪으면서 해당 지역의 뉴스 공급 서비스도 파행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뉴시스대구경북본부는 본사가 기사제작시스템 접근을 차단하자 별도의 홈페이지(www.newsisdg.com)를 개설해 뉴스를 서비스하고 있다.
뉴시스 본사도 자체 홈페이지(www.newsis.com)를 통해 대구·경북 지역 뉴스를 송출하고 있다.
'뉴시스'란 이름 아래 두 개의 취재인력과 홈페이지가 운영되면서 대구·경북의 지역뉴스가 이중으로 서비스되고 있는 셈이다.
◇ 지역 관·재계 '누가 진짜?'…학계 "독립채산제 방식에 갈등 소지"
지역의 관공서나 재계는 뉴시스 본사와 뉴시스대구경북본부간의 갈등에 대해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뉴시스대구경북본부 소속 기자들이 여전히 관공서나 기업체에 출입하는 상황에서 똑같은 제호의 본사 소속 기자들도 내려와 보도자료 등을 요구하며 취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처분 신청 결과가 나온 뒤에도 뉴시스 본사는 "대구경북본부가 이긴 게 아니다. 법원에서 결론을 유보한 것이다"라고 타 언론사와 주요 출입처 등에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뉴시스대구경북본부도 "우리가 소송에서 이겼다"며 관공서에 출입을 요구하는 공문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시내 한 경찰서 관계자는 "양측이 서로 자신이 진짜 뉴시스 기자라고 주장하며 상대방에게 취재 협조를 하지 말 것을 요구해 종종 곤란하다"라며 "경찰뿐 아니라 지역 대부분의 관공서가 어느 편을 들어줘야 하는지 눈치를 보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 같은 갈등과 혼란의 원인을 놓고 학계에서도 뉴시스 본사와 지역본부간 계약 방식 운영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놓고 있다.
최영재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는 "뉴시스의 지역본부가 독립채산제로 운영되다 보니 본사와 갈등의 소지가 있는 것 같다"며 "뉴시스 수입의 상당 부분이 지방에서 나오는 수익구조 상황에서 아마도 돈 문제 때문에 이번 일이 벌어졌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김서중 성공회대 교수는 "본사가 지역본부와 계약을 맺어 연합 형태로 콘텐츠를 수집해왔다는 것이 문제가 없는 구조인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한 조직이 전체를 총괄하는 개념이 있어야 뉴스의 질을 담보할 수 있는데 뉴시스가 회사를 확장하는 과정에서 쉽고 편하게 지역본부를 만든 게 아닌가 싶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