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비자 대행 또 외국에?…국내사 첫 진출여부 관심
세계시장 60% 점유 스위스계와 국내 기업 등 10여곳 각축
(서울=연합뉴스) 전준상 기자 = 정부가 중국 칭다오(靑島)와 광저우(廣州)에서 운영할 외국인 비자신청센터의 대행기관으로 국내기업이 처음으로 선정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정부는 민간기관이 한국을 찾는 외국인에게 비자신청 접수대행 서비스 등을 하도록 하는 제도를 확대 운영할 방침이다.
최근 몇년새 한국을 찾는 외국인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한국영사관의 비자신청 접수 부담을 덜어주려는 취지다.
우리나라는 지난 2011년 4월 처음으로 인도에 비자 대행센터를 설치해 시범운영중이다. 칭다오와 광저우에도 추가로 설치하기로 하고 10일 운영기관 신청을 마감했고 17일 운영사업자 1개사를 최종 확정한다.
비자신청센터는 영사관을 대신해 비자 신청 접수·교부, 비자수수료 수납, 비자 관련 민원 상담, 각종 정보 제공 업무를 하게 된다.
비자신청센터 운영은 중국·미국·인도 등 다른 국가에서는 일반화돼 있는 제도지만, 우리나라는 '걸음마' 수준에 있다.
이번 칭다오·광저우 한국비자 신청센터 운영권을 놓고 세계시장서 60%이상의 점유율을 갖고 있는 스위스계 다국적 여행기업인 쿠오니의 자회사 VFS 글로벌, 중국 CITS, 하나투어를 비롯한 국내 기업 등 총 10여개사가 경합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스위스계 VFS 글로벌의 경우에는 인도에서도 한국비자를 대행하고 있다.
최대 관심사는 국내기업이 '불모지'나 다름없는 외국인 한국비자신청 대행업에 처음으로 진출할 수 있느냐 여부다.
우리나라 관광업계에서는 외국인 국내 유치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비자발급 대행 운영을 한국기업에 맡겨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외국계보다는 국내 기업이 더 적극적이고 친절한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이야기다. 특히 국내 기업의 경쟁력도 외국기업에 전혀 뒤처지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 상당수 국가는 업무 효율성을 위해 자국의 여행기업에 비자신청센터를 운영토록 하고 있다.
특히 중국 여행기업인 CITS와 CTS는 중국비자 업무대행중 37%와 18%를 각각 담당하고 있다. 중국기업인 차이나 브릿지도 37%의 점유율을 갖고 있다. 결국 중국정부는 비자신청 대행업의 92%를 자국기업에 위탁하고 있는 셈이다.
국내 기업이 이번 칭다오·광저우 비자신청센터 사업권을 따낸다면 연간 140억원의 매출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는 칭다오·광저우지역에서 연간 23만명이 한국비자 발급신청을 했을 경우를 가정한 금액이다.
비자 대행 사업은 매년 17%이상 성장하고 있는 관광분야 틈새시장 '알짜' 사업이다.
관광업계 관계자는 "칭다오·광저우 비자대행사업에서 국내 기업이 선정될 경우 단순히 수익성과 사업성을 떠나 교두보를 마련한다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해 한국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은 633만5천명으로 전년대비 46% 급증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