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지역난방 청정연료 교체하는데 주민은 되레 '불안'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4-13 13:58:57
  • -
  • +
  • 인쇄
대책위 "대규모 발전시설 건립돼 주거환경 악화" 우려
공사 측 "오염물질 배출 감소"…市 "생활 피해 최소화할 것"
△ 충북 청주시청 현판. 현판

청주 지역난방 청정연료 교체하는데 주민은 되레 '불안'

대책위 "대규모 발전시설 건립돼 주거환경 악화" 우려

공사 측 "오염물질 배출 감소"…市 "생활 피해 최소화할 것"



(청주=연합뉴스) 박재천 기자 = 청주시가 지역 숙원이었던 한국지역난방공사의 청주 열병합발전시설 청정연료 교체를 이끌어냈지만 예상치 않은 민원에 봉착했다.

13일 청주시에 따르면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청주지사의 열병합발전설비를 액화천연가스(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413㎿급(220Gcal/h)으로 교체하는 계획을 추진하자 개신동, 성화동, 가경동 등 인근 주민들이 반대하고 나섰다.

연료 교체 과정에서 벙커C유를 쓰는 현재의 열병합발전 시설(61㎿·105Gcal/h)보다 오히려 외형상 6배가 큰 대규모 시설로 교체되는 것에 대한 반감이다.

주민들은 열병합발전소 건립 반대 대책추진위원회를 구성, 지난 2일 시에 사업 반대 민원을 제기했다.

대책추진위는 1천여명이 서명한 민원서에서 "열병합발전시설 교체 전후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자료를 제시하라"고 요구했다.

"열병합발전소 건설 승인 이후 주민설명회를 열겠다는 시의 계획은 이해당사자인 주민들은 손을 놓고 지켜만 보라는 것"이라고도 했다.

시는 지난 10일 "지역난방공사가 설치 위치, 시설 규모, 오염물질 배출량 등의 세부적인 사업계획을 결정해 시에 통보하면 사업 시행 전에 영향권 주민 설명회를 열 것"이라며 "주민들이 제시한 개선 사항을 최대한 반영해 생활 피해가 최소화하도록 하겠다"고 회신했다.

시는 증설에 따른 오염물질 배출량 등 기초 자료는 지역난방공사의 '청주 열병합발전 개체(改替) 설명 자료'를 참고하라고 안내했다.

지역난방공사는 이 자료에서 "청주시와 지역 요청에 따라 노후화된 벙커C유 설비를 LNG 설비로 개체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 국가 에너지 절감과 저렴한 난방비 등 주민편익 증대를 위해 발전효율이 높은 신규 복합가스 열병합 설비로 건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연료 특성, 최신 방지기술 적용 등으로 대기오염물질은 거의 배출되지 않거나 크게 감소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사 측은 구체적으로 413㎿급 신규 시설로 바꾸면 연간 각각 106t과 8t가량 배출되는 황산화물과 먼지는 아예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질소산화물 역시 295t에서 95∼161t 수준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부연했다.

시의 한 관계자는 "일부 주민이 막연하게 걱정하고 있지만, 발전 규모가 커진다고 설비나 관련 부지가 6배 이상 늘어나는 것은 아니고 소음 피해도 없다"며 "설비는 직접 만드는 것이 기성품을 들여오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지역난방공사는 현 죽림동 청주지사 인근 터 4만2천900㎡를 사들여 이곳에 2018년까지 새 열병합발전 시설을 짓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벙커C유 열병합발전소 등은 2020년까지 병행 가동되다가 그 이후부터는 비상용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시와 지역 정치권은 청주의 미세먼지 농도가 환경기준을 초과해 시민 건강이 위협을 받고 있고 자칫 이곳이 대기환경 규제지역으로 지정될 수 있다며 벙커C유를 쓰는 지역난방공사 청주지사에 오랫동안 청정연료로의 교체를 촉구해 왔다.

청주지역 난방사업 변경 용역을 추진했던 한국지역난방공사는 지난해 9월 연료 교체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혔다.

공사 측은 1만5천여가구가 들어설 동남지구 내 신규 수요에 주목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난방공사는 예비타당성 조사 신청(기획재정부), 도시계획시설 결정, 사업변경 허가(산업통상자원부), 환경영향평가(환경부) 등 절차를 밟아 내년 하반기에 본공사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