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수준 SW 기업 육성"…R&D 지원 강화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4-12 12:00:23
  • -
  • +
  • 인쇄
미래부 'K-ICT SW 글로벌 선도 전략' 추진

"세계적 수준 SW 기업 육성"…R&D 지원 강화

미래부 'K-ICT SW 글로벌 선도 전략' 추진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세계적인 경쟁력을 지닌 국내 소프트웨어(SW) 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정부가 SW 연구개발(R&D) 지원책을 대폭 정비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SW 중심사회 실현을 목표로 'K-ICT(정보통신기술) SW 글로벌 선도 전략'을 마련해 추진한다고 12일 밝혔다.

미래부는 SW R&D 체질 개선안을 마련해 국내 SW 산업이 지닌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세계 시장을 선도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외형적·단기적 성과에 몰두해 원천기술 개발과 도전적인 R&D 추진을 주저했던 관행에서 벗어나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스마일 커브형'으로 소프트웨어 R&D 구조를 바꾸겠다는 의도다.

미래부는 이를 통해 2017년까지 미국 대비 국내 SW 기술력을 현 73%에서 80%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글로벌 공개 SW와 글로벌 SW 전문기업도 각각 5개와 50개로 늘릴 계획이다.

세부적으로 기초·원천 분야에서는 운영체제(OS), 지능형 SW 등 'SW 기초기술 8대 분야'를 선정, 2017년까지 분야별 연구 거점을 구축하도록 총 25개의 대학 연구실을 'SW 스타랩'으로 지정하고 최대 8년간 지원한다.

응용개발분야에서는 기업의 아이디어가 제품 개발에 온전히 반영되도록 SW기업 지원을 위한 응용분야 과제를 자유공모형 과제로 전면 전환하는 등 성장단계별 특성에 맞는 SW R&D 사업을 지원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창업단계 기업은 신속한 사업화가 가능하도록 지원 절차를 간소화하고, 성장단계 기업을 대상으로는 시장친화적 R&D 프로젝트를 올해 도입하는 한편, 글로벌화단계 기업은 R&D와 해외진출을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등 사업운영 방식을 전면 개편한다.

이밖에 특허 건수 등 기존의 외형적 성과지표를 질적 성과지표로 전환하고 개방형 평가를 도입해 전문성을 강화하는 등 성과 창출 가속화를 위해 R&D 시스템 전반을 정비하기로 했다.

최양희 미래부 장관은 "지금까지 내수시장에 머물렀던 국내 SW 산업의 글로벌화를 위한 전략"이라며 "SW R&D가 기존 투입형에서 성과지향형으로 변화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