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윤조 의원 "재일동포 민족교육 발전위 설치해야"
정책간담회서 예산 확대와 민족학교 추가 설립 등도 제안
(서울=연합뉴스) 왕길환 기자 = 심윤조 국회의원이 "일본의 민족학교를 발전시키기 위한 정부 내 위원회를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10일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새누리당 재외국민위원장인 심 의원은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재일동포 민족교육의 실태 점검과 발전 방안 모색을 위한 정책간담회'에 참석해 "민족학교 지원을 위해 전문가들은 정부, 학계, 시민단체를 포괄한 협의체나 재단 설립을 요구하고 있지만 전 단계로 '재일동포 민족교육 발전위원회'를 만드는 것이 우선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심 의원은 '광복 70년, 재일동포 민족교육의 새로운 길을 묻다'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정책간담회에서 '민족교육을 지원하는 부처가 달라 민족학교는 교육부, 한글학교는 외교부가 맡고 있고 지원금의 차이도 교육부는 65억 원, 외교부 산하 재외동포재단은 8억 원으로 아주 크다"면서 "외교부, 교육부, 재외동포재단을 포함해 다른 관련 부처도 참여하는 정부 내 위원회를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 지원 효과성 입증 △개선 방안 △추가 예산 산정 △민족학교 추가 설립 △민족학교 파견교사의 처우 개선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2013년 재일민단의 통계에 따르면 5∼19세 재일동포 청소년은 3만 9천여 명. 민족교육 기관이 부족하다 보니 이 가운데 상당수가 일본 학교에 다니고 있다.
지금까지 민족교육은 민단계 학교를 통해 이뤄졌고, 현재 학교는 4개에 불과하다. 오사카 지역 학교들은 일본 학교 교육법에 따라 인가된 정식 사립학교(제1조교)에 해당해 그나마도 일본의 교육 과정을 따르고 있다.
우리말 교육을 하려는 재일동포들은 자녀를 조선인총연합회(총련) 계열의 학교에 보내는 사례도 많으며, 실제로 총련계 학교의 재학생 가운데 60∼80%가 한국 국적을 지닌 것으로 추산된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정진성 서울대 교수, 김인덕 청암대 재일코리안연구소 조교수가 각각 '일본 내 민족학교를 중심으로 한 민족교육 활성화 방안', '일본학교에 재학 중인 동포 학생들의 민족교육 방안'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정 교수는 "재일동포 사회의 구조적 변화로 인해 민족교육의 수요도 다변화하고 있다"면서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정책을 주문했다.
김 교수도 "재일동포 자녀의 80% 이상이 일본학교에 다니는 현실을 고려할 때 오사카 지역에서 실시하는 민족학급(일본 국·공립 초·중등학교의 동포 자녀를 대상으로 한 방과 후 활동)의 확대를 검토해야 한다"는 견해를 피력했다.
주제 발표에 이어 토론에 나선 심 의원은 "재일동포 민족교육 문제는 위기라고 하기도 이미 늦은 상황이 아닌가 우려스럽다"며 "위원회를 설치해 각계 전문가와 관련 부처가 머리를 맞대고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유혁수 요코하마국립대 법학대학원 교수, 김상준 긴키대 경영학부 교수, 서정근 야마나시현립대 국제정책학부 교수, 정몽주 조선장학회 대표이사(전 민단 사무총장), 이용학 교육부 재외동포교육담당관, 이현주 전 오사카 총영사, 이명렬 외교부 재외동포영사국장, 김정수 재외동포재단 기획이사, 이용숙 오사카경제대 객원교수, 임유미 민단 문교국 주임, 박성기 전 오사카 금강학교 민족교육부장 등도 참석해 다양한 민족교육 활성화 방안을 쏟아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