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용진 부회장 "스마트 시대, 생각의 근육 키워야"(종합)
"읽기·쓰기·토론 많이 해야"…신세계 2년째 인문학 중흥 사업
(서울=연합뉴스) 이유미 기자 = 신세계 그룹의 정용진 부회장이 9일 인문학 전도사로 나섰다.
정 부회장은 이날 오후 고려대 인촌기념관에서 신세계 주최로 열린 '2015 지식향연' 프로젝트의 첫 번째 강연자로 나와 대학생 청중을 대상으로 인문학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사고력과 통찰력을 키울 방법을 제안했다.
정 부회장은 지금 이 시대를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각종 스마트폰 기기가 삶과 깊숙이 연결된 '스마트 시대'라고 정의하고서 "이같은 기술의 발달이 인류에게 큰 축복이자 재앙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스마트 시대에는 기술 혁신을 통해 많은 일을 빨리 쉽게 처리하고 생활이 편리해졌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스마트 기기가 우리의 사유 능력을 퇴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 부회장은 "우리 사회에 비판적 사고는 온데간데없고 개인과 개인, 혹은 집단과 집단 간의 단편적 헐뜯기만 넘쳐나고 있다"며 "스마트폰은 파편적 정보를 실시간으로 배달해주면서 우리에게 '사고하지 않는 선택'을 강요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기술 자체를 비난하거나 시대를 과거로 돌리자는 것은 아니다"라면서 "다만, 우리의 한계를 극복하도록 돕는 스마트 시대의 축복을 제대로 누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부회장은 "스마트 시대에 사고하는 능력을 키우려면 생각의 근육을 단련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인문학적 지혜가 담긴 글을 읽고, 많이 생각하고 직접 글을 써보며, 주변 사람과 토론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정 부회장은 세계적인 테너인 안드레아 보첼리가 시각 장애의 역경을 딛고 변호사와 성악가의 꿈을 이룬 사례를 소개하면서 이같은 성공의 배경에는 독서가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문학과 철학이 모두 담겨 있는 역사책부터 읽을 것을 조언하며 자신이 최근 읽은 '병자호란', '설수외사' 등의 역사책을 추천했다.
정 부회장은 이어 "글 쓰는 것 자체가 인문학적 사고의 과정"이라며 많이 생각하고 직접 글을 써보라고 제안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자신의 관점을 성찰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비판적으로 수용할 기회를 얻게 되며 자신의 논리를 창의적으로 정리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토론은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동시에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는 최고의 사고력 훈련"이라며 삶의 중요한 문제에 대해 서로의 의견을 나누는 과정을 통해 사고가 정교해지고 논리가 더욱 풍성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 부회장의 인문학 사랑은 모친 이명희 회장에게서 물려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이 회장은 정 부회장의 어린 시절부터 "경영을 잘하려면 사람을 잘 알아야 한다. 그러려면 인문학과 예술에 대한 이해가 필수다"라고 강조해온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지난해 본격화된 신세계의 인문학 중흥 프로젝트는 2013년 하반기 신세계 그룹의 각사 대표들이 모인 자리에서 사회에 기여할 방안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던 중 나온 아이디어에서 비롯됐다고 신세계 관계자는 전했다.
이날 강연에는 정 부회장 외에도 이진우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석좌교수와 송동훈 문명탐험가 등이 강연자로 나섰으며 대학생 등 1천명 이상이 참석했다.
신세계는 이날 강연을 시작으로 8월 말까지 제주대·건국대·경북대·강원대 등 모두 10개 대학에서 인문학 콘서트 형식의 강연회를 진행한다.
신세계는 인문학적 소양을 갖춘 인재 채용을 위해 신입사원 선발 방식에도 변화를 줘서 올해 대졸 신입사원의 경우 인문계열 전공자가 43%로, 상경계열 전공자 35%를 앞섰다고 밝혔다.
2014년 대졸 신입사원의 경우 상경계열 전공자가 50%였고 인문계열 전공자는 30%에 불과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