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진-하산 프로젝트를 AIIB 시범사업으로"
통일준비위원회·무역협회 '동북아 다자경제협력 활성화 방안' 세미나
(서울=연합뉴스) 이웅 기자 = 중국이 주도하는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이 '나진-하산 프로젝트'를 비롯한 동북아지역 경제협력 현안에 새로운 물꼬를 틀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정영록 서울대 교수는 9일 서울 코엑스에서 통일준비위원회와 한국무역협회가 공동으로 주최한 '동북아 다자경제협력 활성화 방안' 세미나에서 "동북아 경제협력사업을 중국·한국·러시아가 창립 멤버로 참여하는 AIIB의 시범사업으로 만들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정 교수는 "최근 북한·러시아·중국 3국 접경 지역에 제3국의 국제인공도시가 가미된 국제항만을 건설하는 프로젝트가 아이디어로 제시돼 주목된다"며 이 같이 밝혔다.
주형환 기획재정부 1차관도 인사말을 통해 "AIIB를 통해 북한 인접지역 인프라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문경연 수출입은행 부연구위원은 "나진-하산 프로젝트가 동북아지역의 평화협력에 기여하는 긍정적인 선순환 고리를 형성할 것"이라며 "남북 중러일 5개국이 참여하고 서로의 경제적 이해를 충족시키는 동북아 경제협력 시범지구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양구 전 주블라디보스톡 총영사는 "나진-하산 프로젝트를 조기 타결하려면 한러 간의 대타협이 필요하다"면서 "나아가 중국 훈춘과 연계하고 러시아 자루비노와도 연결할 수도 있어 남북 러중 4자 협력으로 확대하는 전략적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박윤환 무역협회 남북교역 전문위원은 "나진-하산 프로젝트에 한국 기업이 참여하려면 나진항의 항만 경쟁력 확보와 한국 기업의 경영 참여를 보장할 장치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한 북한과 러시아의 적극적인 노력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나진-하산 프로젝트는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역인 하산에서 북한 나진항까지 54㎞ 구간은 철도로 연결하고, 나진-포항 간을 해상 운송으로 잇는 남북한·러시아의 3각 물류 협력사업이다.
김인호 무역협회장은 "남북 경제협력이 개성공단을 유지하는 수준에 머물며 확산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중국·러시아와 협력해 남북 경협의 돌파구를 모색하는 것은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대통령 직속 통일준비위원회 경제분과에서 통일 방안에 대한 국민 의견을 수렴하고자 세번째로 마련한 이번 세미나에서는 나진-하산 프로젝트 외에도 유라시아 시대의 산업단지 조성·협력방안, 북한 자원개발사업의 다자협력 방안, 러시아 극동 남북러 3각 농업협력 방안에 대한 주제발표와 논의가 이뤄졌다.
세미나에는 기업과 연구소 관계자와 일반인 등 160여명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