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빅용만 회장으로부터 센터 안내받는 박 대통령 (창원=연합뉴스) 도광환 기자 = 박근혜 대통령이 9일 오전 경남창원과학기술진흥원에서 열린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식에 참석, 박용만 두산그룹 회장으로부터 센터시설에 대한 안내를 받고 있다. 2015.4.9 dohh@yna.co.kr |
경남창조센터, 기계산업과 ICT융합한 메카트로닉스 허브역할
ICT·대중소기업 힘 모아 혁신…스마트 기계·첨단 소재 부품 중점
(창원=연합뉴스) 최병길 기자 = 9일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경남센터)가 문을 열면서 성장 한계에 놓인 전통 기계산업에 새로운 활로가 열릴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우리나라 기계산업 메카인 경남은 국내 기계·부품 생산액의 28%, 수출액의 24%를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중국의 높은 성장세와 핵심 소재·부품 국산화율 저조로 성장세가 빠르게 둔화하고 있어 시급한 체질개선이 요구됐다.
경남센터는 이러한 취약점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으로 정보통신기술(ICT), 대기업과 중소기업, 청·장년이 한데 힘을 모아 혁신의 바람을 불어 넣게 된다.
센터가 가장 힘을 쏟기로 한 것은 스마트 기계와 첨단 소재 부품 분야 개발이다. 이를 위해 6개 주요 프로젝트가 추진된다.
먼저 창원국가산업단지 내 대표기업인 두산중공업은 지역 중소기업과 협력 관계를 구축해 세계 최고 수준인 해수 담수화 기술 및 발전 플랜트용 정보통신기술 융합 스마트 시스템 개발에 나선다.시스템 신규시장 창출 효과는 내년부터 5년간 1천400억원으로 추정된다.
중동 등에 관련 시스템을 수출하면 국내 운영 전문 인력의 추가 해외 진출도 가능하다.지역 대표 기계산업 분야인 공작기계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에도 힘을 불어 넣는다.
공작기계 원격 모니터링 등 신규시장 창출 효과는 내년부터 2020년까지 3천억원으로 전망된다.
사천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14개 중소기업 협력업체 간 정보교류를 통해 수출용 무인항공기(드론) 개발과 생산도 추진한다.
여기에다 대우조선해양, 두산, 협력사가 함께 참여하는 해양플랜트용 극저온 소재 국산화 부품 개발을 통해 내년부터 5년간 4천200억원의 수입 대체 효과도 거둘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 대·중소기업 간 협력을 통한 해수 담수화 플랜트 설비 기자재와 항공기용 소재·부품 국산화도 경남센터가 추진하는 중점사항 가운데 하나다.
세계 최고를 자랑하는 담수플랜트 기술력을 살린 물산업 육성을 통한 창조경제 역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물산업 관련 인재 육성과 취업 지원을 위한 경남센터 내 '워터 캠퍼스' 구축, 운영도 눈길을 끈다.
여기에다 깨끗한 경남의 자연환경을 살린 항노화 바이오산업도 지역 특화 자원을 활용한 고부가 가치 창출이 기대된다.
지역 항노화 자원으로 한방 기능성 화장품과 의약품 원료를 개발하고 관광과 결합한 비즈니스 모델도 개발하겠다는 전략이다.
경남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에는 첨단 기계산업·물산업·항노화 바이오산업 등 16개 분야, 148개 기관이 참여해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홍준표 경남도지사는 "경남 제조업의 74%를 점하는 기계산업 경쟁력을 높이도록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해 지능형 기계·소재 부품은 물론 우주항공·조선해양플랜트 등 기계산업 전반에 대한 경쟁력 제고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