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부산=연합뉴스) 조정호 기자 = 부산시 남구 당곡공원에 건립된 '일제 강제동원 역사기념관'이 문을 열지 못하고 있다. 일제의 강제동원 실상을 알리고 역사의식을 고취하려고 국·시비 522억원을 들여 지하 4층, 지상 3층, 전체 면적 1만2천62㎡ 규모로 지난해 5월 완공됐으나 관리 주체를 정하지 못해 개관을 하지 못하고 있다. 2015.4.9 ccho@yna.co.kr |
'일제 강제동원 역사관' 1년전 준공하곤 아직 개관 못해
미등기에 월 관리비만 4천만원…김정훈 의원 "70돌 광복절엔 문 열어야"
(부산=연합뉴스) 민영규 기자 = 부산에 건립한 '일제 강제동원 역사기념관'이 준공된 지 1년 가까이 됐지만 문을 열지 못하고 매월 4천만원에 달하는 관리비만 축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새누리당 김정훈 의원(부산 남구갑)이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일제 강제동원 역사기념관은 지난해 5월 15일 부산시 남구 당곡공원에서 준공됐다.
일제의 강제동원 실상을 알리고 역사의식을 고취하려고 국·시비 522억원을 들여 지하 4층, 지상 3층, 전체 면적 1만2천62㎡ 규모로 세웠다.
역사관은 애초 2012년 12월 개관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예산 지원 우선순위에서 계속 밀려 지연됐다.
또 아직 관리 주체를 정하지 못해 국유재산 등기도 못 한 상태다.
6월 말 활동이 끝나는 대일항쟁지원위원회가 역사관 건립 전반을 책임지고 추진했다.
위원회는 이에 따라 지난해부터 행정자치부에 "역사관을 국유재산으로 등기해달라"고 수차례 요청했다.
그러나 행자부는 지난 3월 25일 소관 부처가 아니라면서 기획재정부에 유권해석을 의뢰했다.
이처럼 역사관의 관리주체가 없다 보니 운영주체 선정은 엄두도 못내 1년가량 표류하고 있다.
그동안 관리비만 월 평균 3천997만원, 모두 2억4천735만원이 들어갔다.
김정훈 의원은 "행자부가 책임을 회피하는 바람에 일제 강제동원 역사관의 국유재산 등기도 못하고 있다"면서 "광복 70주년인 올해 광복절에는 반드시 개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 또 "10일 국무조정실 업무현황보고 때 국무조정실의 신속한 조율과 역사관의 광복절 개관을 요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