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화케미칼 사우디 합작법인 상업생산 돌입
에탄가스 기반 설비로 EVA/LDPE 20만t 생산
(서울=연합뉴스) 성혜미 기자 = 국내 석유화학업체 최초로 중동지역에 공장을 지은 한화케미칼 사우디아라비아 합작법인 IPC(International Polymers Co.)가 상업 생산에 돌입했다고 2일 밝혔다.
총 8억 달러가 투자된 IPC는 한화케미칼과 사우디 민간 석유업체인 시프켐이 25대 75로 합작한 회사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병산 20만t을 생산할 수 있는 플랜트를 사우디 북부 주베일 석유화학단지에서 건설했다.
EVA는 신발 밑창, 태양광 모듈 보호시트, 접착제 등으로 주로 사용되고, LDPE는 비닐하우스, 비닐 코팅용 등으로 사용된다.
두 제품은 같은 생산 설비를 사용하면서 원료에 따라 달라진다.
IPC의 생산설비는 나프타 기반이 아니라 에탄가스 기반의 에틸렌을 원료로 하기 때문에 원가절감에 가장 큰 의미가 있다.
나프타 기반의 에틸렌 국제가는 올해 2월 기준 950달러 수준이지만 중동지역 에탄가스 기반의 에틸렌 가격은 300달러 이하다.
한화케미칼 관계자는 "국내 석유화학업계는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 감소, 중국의 자급률 상승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한화케미칼은 전략적으로 산유국에 생산거점을 구축해 원가절감을 통해 수익구조를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화케미칼은 사우디 합작법인에서 연간 15만t의 EVA를 생산함에 따라 울산과 여수공장에서 생산하는 16만t과 합해 총 31만t의 EVA 생산규모를 갖췄다.
이에 따라 듀폰(40만t)에 이어 세계 2위의 EVA 생산 회사로 올라섰다.
한화케미칼은 국내 공장에서는 태양전지 필름, 접착제 등 고부가가치의 고함량 EVA 제품 생산을 늘리고, 사우디에서는 높은 원가 경쟁력을 바탕으로 신발용 EVA 등 범용 제품 생산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