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송상현광장 << 연합뉴스DB >> |
'소통' 강조한 부산 송상현광장 '닫힌 광장' 전락
접근성 떨어져 집회 1건뿐, 외부행사 전무…"시민 자율성 높여야"
(부산=연합뉴스) 김선호 기자 = '소통과 흐름'을 강조한 국내 최대 도심 광장인 부산 '송상현광장'이 접근성 부족과 행정 편의주의적인 운영으로 '불통의 광장'이 되고 있다는 지적을 받는다.
송상현광장의 관리주체인 부산시설공단은 지난해 6월 개장 이래 이곳에서 열린 집회는 1건뿐이었다고 1일 밝혔다.
지난해 11월 반핵부산대책위원회가 고리 원전 1호기 폐쇄 시민걷기대회를 한 뒤 송상현광장에서 정리집회를 한 것이 유일했다.
최근 전국공무원노조 부산지부가 부산시 허가를 받아 오는 25일 '공무원연금 개악 저지 부산시민대회'를 송상현광장에서 열기로 했지만 이는 1만명의 참석자를 수용할 만한 다른 집회 공간이 없었기 때문이다.
부산진구 양정동∼삼전 교차로 700m 구간에 조성된 교통섬 모양의 송상현광장에 가려면 양쪽에 있는 4차로, 8차로 도로를 건너야 하고 대중교통도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주차장도 23대밖에 수용할 수 없다.
낮은 접근성으로 말미암아 송상현광장(3만4천740㎡)은 서울광장(1만3천㎡)보다 배 이상 넓지만 정작 사람이 모이는 광장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셈이다.
개장 초기 3만6천여명에 이르던 송상현광장 월 방문객 수는 지난 겨울에는 2만명대로 뚝 떨어져 인근에 있는 부산시민공원의 평일 방문객(평균 3만명) 수준에도 못 미치고 있다.
부산시설공단의 경직된 운영도 광장 활성화를 가로막는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송상현광장에서는 개장 이후 자체 행사 외에 외부행사가 단 차례도 열리지 않았다.
일부 단체의 요청이 있었지만 까다로운 절차와 부산시설공단의 불허로 행사가 허용되지 않았다.
부산시 송상현광장의 관리 및 운영에 관한 조례를 보면 광장을 사용하려면 시장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광장의 조성 목적에 위배되는 경우 사용 허가를 제한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면적에 따른 사용료도 내야 한다.
부산시설공단의 한 관계자는 "사용료를 낸다고 해서 허가를 내줄 수 없어 조례보다 강화된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며 "시민 다수가 이용하는 광장을 종교나 정치 행사에 내줄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민사회단체는 부산시와 부산시설공단이 '흐름과 소통'이라는 송상현광장의 조성 목적과 달리 입맛에 맞는 행사만 허용해 준다고 꼬집었다.
실제로 광장사용이 허가된 반핵부산대책위와 공무원노조의 집회는 각각 서병수 부산시장의 고리원전 폐쇄 공약과 연금 개혁이라는 공무원의 이해관계와 맞물려 있다.
이훈전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은 "교통불편 등 하드웨어적인 측면은 어쩔 수 없다고 하더라도 소통과 흐름이라는 광장 조성 목적에 맞는 운영이나 콘텐츠 등의 소프트웨어 개선은 시급하다"며 "광장을 지나치게 관리하려고 하지 말고 시민의 자율성과 창조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