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 '대통령제 전환' 총선 최대 쟁점 부상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3-30 18:40:59
  • -
  • +
  • 인쇄

터키 '대통령제 전환' 총선 최대 쟁점 부상



(이스탄불=연합뉴스) 김준억 특파원 = 터키의 대통령제 전환이 2개월 앞으로 다가온 총선의 최대쟁점으로 떠올랐다.

현행 헌법상 행정부 수반인 아흐메트 다부토울루 총리가 마침내 대통령제를 지지한다고 밝힌 반면 야당은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의 독재가 심해질 것이라며 반발했다.

터키 일간 휴리예트는 30일(현지시간) 다부토울루 총리가 전날 보도채널 하베르튜르크와 인터뷰에서 "대통령제는 터키에 옳은 것"이라고 말해 처음으로 명확하게 대통령제 전환을 지지했다고 보도했다.

다부토울루 총리는 "현재 터키의 체제는 내각책임제도 아니고 대통령제도 아니며, 준(準)대통령제 역시 아니다"라고 지적하고 권한과 책임을 분명하게 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대통령제 전환이 중요하기 때문에 총선 공약으로 제시할 것"이라며 "직접 대통령제 공약을 작성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부토울루 총리가 이끄는 내각은 최근 터키 쿠르드족 반군인 '쿠르드노동자당'(PKK)과 평화협상을 진행하면서 에르도안 대통령과 정부의 권한을 놓고 이견을 보인 바 있다.

터키는 2007년 헌법을 개정해 대통령 직선제를 도입했으나 총리가 모든 행정에 관한 실질적 권한을 행사하고 국회에 책임을 지는 내각책임제를 유지하고 있다.

집권 정의개발당(AKP)을 창당한 에르도안 대통령은 2003년 총리직에 오른 이후 11년 동안 총리를 지냈으며 지난해 8월 첫 직선제 대선에서 과반 득표로 당선됐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신속한 의사결정 체제인 '강력한 대통령제'가 필요하다고 거듭 주장했다.

그는 전날 이스탄불에서 열린 대중 집회에서도 "우린는 지난해 사상 첫 직선제 대선으로 공화국의 새 역사를 썼다"며 "6월 7일 총선을 새로운 터키로 이끌 대통령제 전환 개헌의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대통령 취임으로 헌법에 따라 집권당에서 탈당한 그는 정의개발당을 지칭하지 않았지만 "의원 400명을 줄 준비가 됐나"라며 국민투표 없이 의회에서 개헌할 수 있도록 집권당이 이번 총선에서 전체 의석(550석)의 3분의 2 이상을 확보하라고 촉구했다.

야당들은 대통령제 전환은 에르도안 대통령의 독재적인 1인 통치 체제를 강화할 것이라며 저지하겠다고 밝혔다.

제1야당으로 사회민주주의를 표방한 공화인민당(CHP)의 케말 크르츠다로울루 대표는 에르도안 대통령이 '수퍼-대통령'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제2야당인 민족주의행동당(MHP) 데블레트 바흐첼리 대표도 대통령제 전환은 반대하지 않지만 에르도안 대통령이 원하는 모델은 반대한다고 말했다.

쿠르드계 정당인 인민민주당(HDP)의 셀라하틴 데미르타시 공동대표 역시 "우리가 숨 쉬고 있는 한 대통령제는 없을 것"이라며 개헌을 막겠다고 밝혔다.

터키 언론들은 최근 여론조사에서 정의개발당의 지지율이 1위지만 40% 수준에 그쳐 의석수를 3분의 2 이상 확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다만 정당이 원내 진출을 위해서는 전국 득표율 10%를 넘어야 하므로 인민민주당이 이 기준을 넘지 못하면 1위 정당에 의석이 추가로 배정된다. 지난해 대선에서 인민민주당 후보로 나선 데미르타시 공동대표는 9.8%를 득표했다.

직전 총선이 2011년 선거에서 정의개발당은 49.83%의 득표율로 327석을 획득했으며, 쿠르드계 정당은 10% 득표가 어렵자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자들이 선거 이후 정당에 가입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