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프국가 공습 개시…예멘, '화약고' 되나
'아랍의 봄'에 퇴출된 살레 귀환설도 제기
(두바이=연합뉴스) 강훈상 특파원 = 시아파 반군이 예멘 전체를 무력으로 장악할 수 있다는 위기감에 사우디아라비아 등 인근 걸프국가가 26일(현지시간) 공습을 개시하면서 예멘이 새로운 중동의 '화약고'가 됐다.
이날 예멘 공습은 단순히 쿠데타를 일으킨 반군을 토벌한다는 데 그치지 않고 중동 전체로 군사적 충돌이 확전할 조건이 충분하다는 점에서 예사로운 일이 아니다.
사우디 등 걸프지역 수니파 왕정은 종파·정치적으로 '앙숙'인 이란을 예멘 시아파 반군 후티의 배후로 지목하고 있다.
이란과 예멘 모두 이를 표면적으로 부인하지만 이란은 후티가 지난달 일으킨 쿠데타에 몰려 남부 아덴으로 피신한 압드라부 만수르 하디 대통령을 '전 대통령'으로 칭할 만큼 후티에 우호적이다.
이란은 지난달 예멘 수도 사나를 통제하는 후티와 항공협력과 관련한 양해각서를 맺으면서 이들을 공식 권력으로 인정했다.
사우디가 후티의 세력 확산에 군사개입이라는 극도로 예민한 반응을 보인 배경을 짐작게 하는 대목이다.
사우디는 남쪽으로 예멘과 국경을 길게 맞댄 터라 예멘의 정정 불안에 직·간접 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특히 예멘이 후티의 손에 넘어가면 이곳은 자연스럽게 걸프지역에서 시아파 종주국 이란의 정치·군사적 교두보 역할을 하게 된다.
그간 사우디와 이란이 마찰을 빚어왔지만 지리적으로 인접했던 적은 없었다는 점에서 지금까지와 다른 수준의 긴장이 걸프지역에서 일어날 수 있음을 예고하는 셈이다.
이란은 예멘에 외국이 개입해선 안된다는 입장이었지만 이런 중동의 파워게임 양상을 종합하면 사우디 등 수니파 왕정국가의 후티 공습을 이란도 좌시하지 않을 공산이 크다.
수니파 무장조직 '이슬람국가'(IS) 격퇴 작전엔 암묵적인 협력 관계인 이들이 걸프의 남단 예멘에선 유혈 충돌을 벌이는 기묘한 장면이 연출될 수 있다는 뜻이다.
사우디 등의 군사 개입에도 후티가 권력의 전면으로 나설 경우 '아랍의 봄' 민주화 시위로 2012년 퇴출당한 독재자 알리 압둘라 살레 전 대통령의 복귀 가능성도 열리게 된다.
살레 전 대통령은 권좌에서 내려왔지만 여전히 예멘 의회 다수당인 국민의회당의 당수인데다 정부군엔 그에 충성하는 장교들이 건재하다.
후티가 지난해 9월 순식간에 수도 사나를 점령할 수 있던 것은 살레 전 대통령 편에 선 정부군의 협력이 뒷받침된 덕분이었다.
후티와 살레 전 대통령이 서로의 필요에 따라 '동상이몽'격으로 손을 잡은 관계이긴 하다. 그러나 현재 후티의 득세에 기여한 살레 전 대통령의 지분을 고려하면 그의 귀환도 불가능한 시나리오만은 아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