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문화회관 예술명소로 거듭나게 할 것…자체공연 확대"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3-24 16:47:29
  • -
  • +
  • 인쇄
이승엽 신임 사장 기자간담회 "신뢰도·호감도 높이기 절실"
△ 신임 세종문화회관 이승엽 사장 간담회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이승엽 신임 세종문화회관 사장이 24일 오후 서울 세종문화회관 예술동 예인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향후 회관의 비전과 정책을 발표하고 있다. 2015.3.24 hihong@yna.co.kr

"세종문화회관 예술명소로 거듭나게 할 것…자체공연 확대"

이승엽 신임 사장 기자간담회 "신뢰도·호감도 높이기 절실"



(서울=연합뉴스) 김정은 기자 = 이승엽(54) 세종문화회관 신임 사장은 24일 "2019∼2020년까지 세종문화회관을 시민이 자랑하고 싶은 '예술명소'로 거듭나도록 할 것"이라며 자체 공연 확대, 시즌제 도입 등 계획을 밝혔다.

지난 2월 11일 취임한 이 사장은 이날 세종문화회관 예인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세종문화회관이 예술공간이라는 사실을 더욱 명확히 해나갈 것"이라며 "제가 세종문화회관이 예술명소의 완전체가 되는 데 도구로 쓰였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세종문화회관 산하 9개 예술단을 강화하고 자체 공연 횟수도 대폭 늘릴 계획이다. 창작물 개발 프로세스를 구축해 레퍼토리를 축적해나가는 한편 프로그램을 연 단위로 구성해 공개하는 '세종 시즌제'도 도입할 예정이다.

세종문화회관 산하에는 서울시국악관현악단·무용단·합창단·극단·뮤지컬단·오페라단 등 9개 예술단이 있으나 그동안 주목할만한 작품을 내놓지 못했다.

세종문화회관 공연도 대관 중심이어서 자체적인 콘텐츠 경쟁력이 현저히 낮은 실정이다. 현재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체임버홀의 경우 세종문화회관 기획공연과 예술단 자체 공연 비율이 30%에 불과하다.

이 사장은 "예술단 공연과 기획공연의 비중이 이것보다는 훨씬 높아져야 한다"며 "대극장과 체임버홀은 50%까지는 올라가야 한다"고 밝혔다.

이 사장은 "취임 후 예술단의 현황을 보고 너무 적은 사업 예산 등을 보고 놀랐다"며 "지난 10년간 시도했던 네거티브 방식의 예술단 구조조정은 이미 여러번 했고 실패했다"고 말했다.

그는 "일단 빈사 상태에 있는 예술단의 체질부터 건강하게 갖춰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예술단을 강화하고 공연도 많이 하고 당장의 성과는 없어도 창작물을 위한 프로세스를 가동하는 방향으로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세종에서 하는 공연, 전시라면 믿고 찾는 수준까지 올라가야 한다"며 "신뢰도와 호감도를 높이는 것이 매우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 사장은 세종문화회관과 세종문화회관 지하에 건설 예정인 '블랙박스 극장', 광화문 광장, 지하철 역사, 현재 건립이 추진되고 있는 세종로공원 클래식 콘서트홀 등 주변 예술공간들을 연계해 '광화문 예술 블록'으로 묶는다는 구상도 밝혔다.

이 사장은 이와 함께 그동안 여러 잡음에 휘말렸던 세종문화회관 내부 조직을 추스르는 데도 공을 들이겠다고 밝혔다.

그는 "세종문화회관에서 일하게 됐다고 했을 때 외부에서 보인 반응들은 축하보다는 염려가 많았다"며 "들어와 보니 내부적으로 상처가 많이 나 있고 분위기가 많이 가라앉아 있었다"고 말했다.

세종문화회관은 2013년 내부고발자 부당해고 논란 등으로 서울시의회와 끊임없이 마찰을 빚었고, 일부 시의원들이 박인배 당시 사장의 해임 촉구 건의안을 상정해 사퇴를 압박하는 초유의 사태를 겪었다.

지난해에는 억대의 악기를 정품 보증서 없이 구입한 사실 등이 서울시 감사에서 적발되는 등 여러 문제로 계속 구설에 올랐다.

이 사장은 "입지 등 세종문화회관이 갖는 압도적인 장점들이 있다"며 "이를 감안하면 예술명소로 새롭게 태어나는 것이 그렇게 허망한 희망만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 사장은 예술의전당 공연장 운영부장, 서울시 하이서울페스티벌 예술감독, 한국예술경영학회장과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학과 예술경영전공 교수 등을 지냈다.

그는 "현장에 있다가 학교에 갔지만 결국 내 일의 마지막은 현장이어야 한다는 생각을 했다"며 "제가 세종문화회관을 위해 할 일이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고, 앞으로 예술경영 전문가로서의 덕목을 발휘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